▲ 안성뉴타운 전경. 노란선은 당초 사업예정지, 붉은색은 축소된 사업 지구 예정지.

[경인일보=이명종·최규원기자]조선시대부터 사통팔달의 요충지였던 안성. 그러나 이제는 경기 남부지역의 오지(?) 아닌 오지로 전락하고 있다. 그러던 안성에 한줄기 희망의 빛이 내렸다.

지난 2005년 12월 30일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는 안성시 옥산·석정·아양동 일원 402만3천266㎡에 안성뉴타운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안성뉴타운은 수도권과 중부권 지역의 관문도시로서 자족도시의 위상 재정립과 안성 전통문화와 전원경관의 조화를 통한 친환경 문화예술도시로 조성하겠다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2008년에는 개발계획이 승인됐다.

그러나 8월 현재 보상은커녕 사업지구를 당초 계획보다 4분의1 수준으로 축소 개발하겠다는 조정안을 주민들에게 제안했다.

개발 축소 제안에 대해 주민들은 "5년간 재산권을 묶어 놓더니 이제와서 축소하면 피해 보상 계획은 있는거냐"며 강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그나마 LH는 올해 말 보상공고를 내고 내년 초부터 보상을 실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사업 구역 제외지역에 대한 보상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질이 없는 상태여서 주민들의 불만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처럼 LH가 사업을 축소한 이유는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다.

사업이 축소되면 안성뉴타운은 광역교통계획 수립대상 미만으로 추진된다. 결국 사통팔달의 과거 영광을 재현하겠다는 건교부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간 셈이다.

광역교통계획에 따라 개발될 경우 안성은 2014년 하루 5만3천여대에서 2023년까지 하루 6만6천여대의 차량이 이동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변모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LH는 국도 38호선, 국지도 23호선·70호선이 확장되고 국도 38호선 대체 우회도로를 신설하고, 안성시 역시 지방도 302호선을 확장할 계획을 세웠다.

또한 서수원~오산~평택고속국도, 안성~음성간 고속국도, 중부고속국도 등 고속도로가 확장되고 그 외 국도 및 국지도 그리고 지방도 등이 확장 및 신설될 상황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안성은 대한민국 교통의 심장이 될 수밖에 없었다.

교통뿐 아니라 자족적인 친환경 문화도시로의 개발을 추진했다. 양호한 산지, 구릉지 등을 최대한 원형보전해 자연형 공원으로 조성, 지구내 안성천 등 5개 하천 등을 활용해 녹지체계를 구축하는 등 친환경 단지로 개발되고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및 도시기반시설도 마련될 예정이었다.

주택 역시 임대 1만여가구를 포함, 2만여 가구에 6만여명이 유입될 예정이었다. 현재 16만여명으로 6만명의 유입은 현재 인구의 3분의1이 새로 유입되는 것으로 기존 시가지와 뉴타운이 하나로 합쳐져 새로운 도시 형태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었다.

때문에 시는 뉴타운 개발 사업이 반드시 이뤄지도록 갖은 노력을 경주해왔다.

그러나 안성뉴타운은 인접 용인, 화성, 평택 등의 택지개발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되레 안성 인구가 빠져나가는 상황이 연출됐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당초 계획보다 4분의1로 축소된 사업지구라도 하루 빨리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안성뉴타운은 사업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안성뉴타운은 정책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지역이다. 안성은 정부가 추진한 각종 택지개발의 피해지역으로 개발이 더뎌질 경우 도시 슬럼화마저 우려된다.

정부 정책에 따라 서울 연접 30㎞이내 지역의 GB(그린벨트)를 풀어 보금자리를 건설하는 것보다 도시의 균형 발전을 위한다면 정부는 정책적으로 당초 계획(안)대로 안성뉴타운을 추진해야 한다. 자족의 기능과 수도권 남부지역의 거점 도시로 그 중심에 안성뉴타운이 건설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