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 고부가가치 제조업, R&D, 비즈니스서비스 등의 '클러스터'로 조성되고 있는 송도국제도시 전경.

[경인일보=강승훈기자]세계에서 가장 많은 약 13억명 인구가 사는 중국.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등 34곳 행정구역에 56개 민족이 모였다. 960만㎢ 땅 덩어리는 우리나라의 100배에 이른다. 중국, 그 거대 대륙이 인천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풍부한 자금 동원력을 앞세운 경제산업이 빠르게 인천상륙을 꾀하고 있다. 국제공항과 항만이 있는 우수한 접근성을 인천의 최대 장점으로 든다. 중국의 돌풍은 무역에 그치지 않고 관광, 문화 등 각종 분야와 지역전반으로 침투 중이다. 중국과 한국, 특히 인천을 잇는 바다와 하늘길은 매년 확대되고 있다.

한반도의 중앙부 황해 연안에 위치한 인천은 지정학적으로 중국과 아주 가까이 있다. 세계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을 향해 인천도 이제 눈을 돌려야 한다. 인천이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으로 비상하기 위해서는 중국을 반드시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은 도시 간 협력에서 상생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1992년 8월 한중 수교이후 인천시는 1993년 처음으로 중국 톈진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데 이어 지자체별로 각 도시들과 우호관계를 다져왔다. 강화·옹진군을 비롯 중·동구, 연수·남동·부평구 등 9곳 기초자치단체는 중국 27개 도시와 우호관계를 갖고 있다.

시는 2011년 창춘(長春)시를 시작으로 중국 핵심도시와 네트워크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한·중·일 주요 항구지역 10곳을 상호 연계하는 협의체 OEAED(동아시아경제교류추진기구) 원스톱 센터를 올 1~2월 인천에 설치, 국제비즈니스 환경 개선에 주력하기로 했다. OEAED 인천사무소는 부산, 울산 등 국내 회원도시의 목소리를 들어 3개국 공통 현안을 풀어나갈 예정이다.


인천은 지리적 측면에서 화물, 물류 전문화는 물론 정보, R&D(연구시설) 등 지식 및 관광 거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수도권과 인접했기 때문이다. 인천항이 2010년도 처리한 대(對)중국 컨테이너 물량은 100만TEU를 초과 달성,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중국의 해외여행 시장 규모는 연간 5천여만명 수준으로 인천공항 이용객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인천은 화남(華南)지방 최대의 무역도시 광저우(廣州)와 더불어 베이징과도 치열한 경쟁 또는 협력이 불가피하다.

국내에서는 부산과 제주도가 중국과 시대적 교류 조류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두 곳은 한류 열풍을 관광 상품으로 개발, 관광객 유치를 벌이고 직접 해외로 마케팅을 추진 중이다. 부산은 향후 2년 내 중국 관광객 100만명 유치를 목표로 하는 장밋빛 청사진을 내놨다. 제주도는 제주관광공사, 관광업계와 공동으로 안내 체계, 통역, 음식, 쇼핑 등 다방면에서 중국인 수용 태세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대(對) 중국사업의 사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인천은 지금까지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평이다. 인천-중국 간 접근 루트를 새로 확보하고 공략 타깃시장을 넓혀나가는 등 총력전이 전개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와중에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역할론이 대두되고 있다.

경제특구는 미래의 신(新)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선진 사례로 등장하는 중국은 최근 제정된 충칭(重慶)-청두(成都)신구 등 다양한 명칭으로 존재한다. 1980년대 선전(深玔)을 기점으로 4개 지역에서 실험적으로 시작된 게 현재 150여 개에 달한다. 지정된 지 20년이 흐른 상하이 푸둥(浦東)은 글로벌 500여개 금융회사가 둥지를 튼 금융허브로 변신했다.


국내에서는 인천이 2003년 8월 처음으로 지정·고시됐다. 총 부지 면적이 서울의 3분의1을 차지한다. 송도·청라·영종지구에 걸친 209.5㎢는 동시다발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의 대형 개발 프로젝트와 외자 유치가 한창이다. 이에 반해 조세 지원 등 파격적인 당근책, 즉 인센티브 혜택은 매우 제한적이다. 거꾸로 각종 규제는 스스로의 성장을 막은 것이다.

중앙정부 차원의 협조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제 글로벌 금융, 물류의 관문을 지향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중국과 정면 승부를 피할 수 없다. 우선적으로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고 영종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영종 무비자 실현'이 필요하다. 영종지구를 중국과 화교 큰손이 주목하도록 만들어, 경제특수를 노리자는 의견이 많다. '부동산 투자 이민제도' 적용은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지난해 첫 시행한 제주특별자치도의 후발주자이기 때문이다. 반면 송도 글로벌캠퍼스, 운북복합관광지 등 나름의 우위를 지녔다는 판단이다.

이종철 인천경제청장은 "중국은 인천이 국제사회에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파트너"라며 "인천이 제안하는 제도 개선은 국가적인 성장 등 추진 당위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