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위기와 고유가인 '에너지' 위기에 동시 직면했다. 특히 석유는 40년, 가스는 50년, 석탄은 130년 정도면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두말할 나위 없이 이미 에너지 자원 전쟁이 시작됐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사실상 전기 수입국이다. 전체 발전연료의 97%를 수입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유가가 10% 오르면 물가가 0.23% 오르고, GDP는 0.35% 떨어진다. 에너지 안보에 구멍이 난 셈이다.

특히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 이산화탄소(CO2) 감축 요구 등으로 환경성 및 경제성이 확보되는 청정에너지원 개발이 시급해지고 있다.

# 친환경 녹색에너지 시대

우리나라도 발전사업자에게 연간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도입하는 등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 영국, 스웨덴, 호주, 일본 등의 선진국들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RPS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가 화두가 된 것은 교토의정서에 의거,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현실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것이 태양광이다. 그러나 태양광은 장소 문제로 인해 건물 지붕 등 소규모에 그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대규모 친환경 녹색기술 개발이 중요해지면서 바다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바다에너지 잠재력은 연간 9만3천TWh로 연간 글로벌 발전량인 1만7천TWh의 5배 이상이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의 경우 햇빛과 바람 등 날씨 변화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 폭이 크다. 이 때문에 예비전력으로 사용하거나, 전력 저장 및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조력발전의 경우 자연현상을 이용하는 것은 같지만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에 비해 발전시간과 발전량의 정확한 예측이 가능해 전력 수급의 안정성에서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대규모 발전이 가능한 조력발전은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현재 조력발전소가 가동중인 나라는 프랑스의 랑스, 러시아의 키슬라야구바, 캐나다의 아나폴리스, 중국의 지앙시아 등이다. 특히 프랑스의 랑스강 하구는 조석의 차이가 13.5m로, 효율이 좋은 조력발전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조수간만의 차이가 커야 한다.

이런 이유로 조력발전 개발이 가능한 국가는 영불해협, 남북 아메리카, 중국, 러시아, 한국 등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 면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서해안, 특히 강화지역은 조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강화·인천지역 평균 조차는 6.5m로, 가로림 4.5m, 시화호 5.5m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로 인해 내년부터 1조2천47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2020년 완공을 목표로 강화조력발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강화군 석모도 해역 일원에서 추진중인 강화조력발전소의 시설 규모는 발전용량이 420㎿로, 연간 발전량은 710GWh에 이른다. 수차발전기(30㎿)는 14기이며, 수문은 4문이다.

지난 2010년 사업시행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인 강화조력발전(주)가 설립돼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강화조력발전측은 2014년 1월 전기사업허가 및 실시계획 승인신청을 거쳐 2014년 10월에는 착공에 들어간다는 목표다.

# 기대효과

강화조력발전소의 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는 매우 크다. 화석연료 미사용으로 연간 CO2 44만t 감축은 물론 연간 원유 104만배럴을 대체해 1천257억원의 외화를 절감하게 된다.

강화조력이 생산해 낼 420㎿의 전기는 인구 70만명의 도시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또한 강화조력발전소가 추진될 경우 강화군에는 각종 세수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따른 수익도 발생하게 된다.

일자리 창출 및 주민소득 향상도 기대된다. 강화조력발전 측에 따르면, 인천·강화지역의 경우 생산유발 1조3천206억원을 비롯해 고용유발 8천923명, 임금유발 2천279억원, 부가가치유발 4천982억원이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강화도와 석모도의 연륙화에 따른 지역주민 생활편의 향상과 친환경 해양레포츠 산업 활성화 등도 기대되고 있다. 석모도의 접근성 개선과 조력발전이 연계된 관광사업이 활성화되면서 매년 관광객 50만명이 추가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어 약 96억원의 관광수입 증가가 예상된다.

현재 상업운전을 하고 있는 시화조력발전소의 경우 내년에 75m 높이의 전망타워, 전시관, 공연장, 회의장, 카페 등이 갖춰진 문화관이 개관될 예정이어서 국토균형발전 측면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강화조력 역시 시운전 및 상업운전이 시작되면 강화의 또 다른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 남겨진 과제

당초 강화조력발전소의 규모는 현재보다 두 배가량 더 컸다. 발전용량이 840㎿에 연간 발전량은 1천556GWh이나 됐다. 수차발전기(30㎿)는 28기에, 수문은 10문이나 됐다.

사업규모를 절반이나 축소한 것은 시민환경단체 및 어민 등의 환경훼손에 대한 우려를 적극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이다. 사업규모가 절반으로 축소되면서 갯벌감소 면적은 7.65㎢에서 2.14㎢로 대폭 축소됐다.

강화조력사업은 2007년 인천시, 강화군, 한국중부발전, 대우건설 등이 강화조력 공동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뒤 조력사업 찬반측 대표자들이 참여하는 민관검증위원회를 통해 1년간 사업 타당성에 대한 검증을 거쳤다.

또 찬반 양측간 대화를 지속하는 등 사회적 갈등 해소와 합의를 위한 노력이 지속돼 왔다.

그렇다고 갈등과 이견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일부 시민단체와 환경단체에서는 홍수기 시 한강 하구의 침수피해, 해수유통차단에 따른 조력저수지내 수질 악화, 대규모 갯벌 파괴, 조류서식지 훼손, 문화재 및 습지보호구역 훼손, 어장 및 어족자원 감소에 따른 어획량 감소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강화조력발전 측은 한강하구 수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 논란은 민관 검증위원회의 재검증 결과에서도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판명났다고 해명했다.

국내 전문기관과 해외 전문기관 모두 현재보다 최고수위는 낮아지고 최저수위는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한 결과가 맞다는 설명이다.

대규모 갯벌 파괴와 조류서식지 훼손 논란도 사업 규모를 축소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해결됐다는 것이 강화조력발전 측의 판단이다.

강화조력발전 측은 이와 함께 어민 피해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피해영향조사를 통해 합리적으로 보상하고, 대체어장 조성 및 어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김도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