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옷맵시 위해 속적삼 필히
저고리는 앞으로 숙여서 입어야
남자의 대님 요즘엔 간단히 매듭

# 여자한복 입기
1. 속바지와 속치마를 입는다.
2. 수눅을 맞추어 버선을 신는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수눅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3. 치마를 입고 앞에서 묶는다(뒤트기치마인 경우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약 7㎝ 정도 여며지게 입고 앞에서 끈으로 묶는다).
4. 속저고리나 속적삼을 입는다(간혹 속적삼을 입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겉옷을 맵시있게 하기 위해서는 꼭 입도록 한다).
5.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맨 다음 진동선을 정리해 준다(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고, 깃고대와 어깨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저고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6. 두루마기를 입는다(두루마기 위에 두루마기와 같은 천의 목도리를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스카프나 숄을 대신 걸쳐도 좋다).

1. 양말을 먼저 신고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순으로 입는다.
2. 바지는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오게 입고 허리폭의 남는 부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린후 그 위에 허리끈을 둘러 앞에서 묶는다.
3. 예전에 남자 한복 입기에서 어려운 부분이 대님매기였는데, 요즘은 매듭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4. 외출시 두루마기를 입는다.
# 고름 매는 법
1.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뺀다.
2.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한다.
3. 왼손으로는 긴고름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4.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든다.
5.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다.
# 대님매는 법
1.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댄다.
2. 발목을 싼 끝을 바깥쪽 복사뼈에 댄다.
3.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는다.
4.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묶는다.
5. 바지끝을 내려 보기 좋게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