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가례가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설날 상차림 차례상 진설과 함께 차례 지내기, 한복 입기, 떡국 먹기 등 설 명절과 관련된 세시풍속(歲時風俗) 몇가지를 소개한다.
술 한번만 올리는등 제사와 차이
밥·국도 안놓아… 시접에 젓가락만
신위 동쪽엔 남자 서쪽엔 여자 서

# 설날 상차림/차례상 차리는 법
가례가 집집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설에는 일반 제사 때와는 달리 술을 한번 올리며, 축문도 읽지 않는다. 또 메(밥)와 갱(국)을 쓰지 않고 시접에도 젓가락만 담는다.
이와 함께 신위 앞에 1열에는 잔반과 시접을 놓는다. 동쪽이 중심으로 오른쪽은 동, 왼쪽은 서로 생각한다. 2열은 서쪽서부터 시작, 초간장과 육전(고기 부침), 소적(두부), 육 어 닭(봉), 생선 부침을 놓고 지낸다.
생선은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를 지킨다. 3열은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육탕 소탕 어탕을 놓는다. 4열은 포(북어 고기 오징어나 문어 말린 것)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건더기만)를 놓는다.
5열은 홍동백서(紅東白西)와 조율시이(棗栗枾梨)의 순서로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밤 배 감(약과) 사과 대추를 차례로 놓는다.
# 차례 지내는 순서
지방(신위)을 중심으로 동쪽(차례상을 향해 우측)에 남자 자손이 서고, 서쪽은 여자 자손이 자리를 한다.
1. 제주가 꿇어 앉아 강신잔에 술을 따라 모사그릇에 비운 다음 두번 절한다.(강신)
2. 왼쪽 집사(친척중 연세가 든 사람 중)가 잔반을 들어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반을 받아들고 오른쪽 집사가 그 잔반에 차를 따라 준 다음 제주는 오른쪽으로 향위에서 잔을 세번 돌리고 오른쪽 집사에게 잔을 주면 집사는 잔반을 받아 상에 올린다.
3. 제주는 두번 절한다.
4. 제주 또는 집사가 젓가락을 들어 접시에 세번 구른 후 가지런히 하여 음식에 놓는다. 헌작한 사람과 제자손들은 여자 4배, 남자 2배 절한다.
5. 헌작이 끝나면 6∼7분간 방문 닫고 기다린다.(이 때 음식을 잡수라는 뜻)
6. 다시 방문을 열고 들어갈 때 인기척을 세번하고 들어간다.
7. 제주와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절을 한다.
8. 지방을 불에 사른다.
9. 제수를 상에서 내린다. 식구들이 나눠 먹는 상을 다시 차린다.
10. 참례한 모든 사람이 함께 음복한다. /박상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