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겨 여왕' 김연아(23)가 레미제라블 완벽연기로 2013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면서 한국 피겨는 사상 처음으로 동계올림픽에 한 종목 세 명의 선수를 내보낼 수 있게 됐다.
ISU는 올해 세계선수권대회 결과에 따라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의 국가별 출전권을 배분하기로 결정했다.
2명 이상의 선수를 내보낸 나라의 경우 상위 2명 선수의 순위를 합쳐 출전권을 결정한다.
두 선수의 순위를 합친 숫자가 13 이하면 3장의 출전권을 주고, 14~28인 경우에는 2장으로 줄어든다.
여자 싱글에 김연아만 내보낸 한국처럼 한 명의 선수만 출전시킨 나라의 경우 그 선수가 2위 안에 들면 3장의 올림픽 출전권을 준다. 그가 3∼10위에 이름을 올리면 올림픽 출전권은 2장이 되고, 24위 안에 들면 1장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김연아가 이번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한국은 단숨에 3장의 출전권을 손에 넣었다.
100년이 넘은 한국 피겨 역사에서 처음 맞는 감격의 순간이다. 한국은 1968년 프랑스 그레노블 올림픽부터 피겨스케이팅에 꾸준히 선수를 출전시켰으나 세부종목 하나에 세 명의 선수를 내보낸 적은 단 한차례도 없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에 피겨 선수 4명이 출전했으나 아이스댄스의 양태화-이천군이 포함됐고 남녀 싱글에는 1명씩 밖에 나가지 못했다.
1968년 그레노블 대회 여자 싱글에 김혜경과 이현주 등 두 명의 선수가 출전하고 2010년 밴쿠버 대회에 김연아와 곽민정(이화여대)이 나선 것이 단일 세부종목에서의 최다 기록이다.
한국 피겨는 특히 안방에서 펼쳐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맞물려 큰 의미를 지니게 된다.
한국에는 '김연아 키즈'로 불리는 많은 유망주가 자라고 있지만 아직 세계무대에서 경쟁력을 보일 만큼 실력이 무르익지 못했다. 게다가 ISU는 평창 올림픽부터 개최국 자동 출전권을 폐지한 터라 어린 선수들이 되도록 자주 큰 무대에 출전해 경험을 쌓는 일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김연아가 세계선수권대회에 나서지 않았다면 한국은 1장을 유지하기도 버거운 상황이었지만 이제는 김연아 외에도 2명의 유망주에게 올림픽 무대를 밟게 할 기회를 잡았다.
/신창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