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민 프로구단의 롤모델'로 불리는 프로축구 인천유나이티드가 적법한 절차 없이 사적으로 대출을 받아 구단 운영비를 충당하는 등 파행 운영을 했다.

30일 인천유나이티드에 따르면, 조동암 구단 대표는 선수와 직원의 월급을 주기 위한 명목으로 지인에게 올 초와 지난해 말 두 차례에 걸쳐 10억여원을 빌렸다.

경영난으로 외국 용병 등 선수 영입 비용, 구장내 LED 광고판 구입 비용 등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광고수주액마저 제때 입금이 되지 않자 조 대표가 나서 사적인 대출을 받았다는 것.

이 과정에서 인천유나이티드는 운영비 차용을 위한 이사회 개최나 사전동의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며, 나중에 이사들의 서명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표는 "급하다 보니 이사회는 열지 않고 은행금리 수준으로 개인에게 돈을 빌리게 됐다"면서 "금리부분은 은행 대출금리 수준인 4.15%로 하고 상환 날짜 및 방법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명시했으며 개인 명의가 아닌 구단 명의로 계약서를 작성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난해 2월 선수와 직원 임금 체불시 금융권에서 운영자금을 긴급 차입한 구단이 담보 등이 없다는 이유로 사채를 끌어들인 부분은 특혜 의혹 등의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구단이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을 추진중인 연수구 동춘동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 사업을 미끼로 투자금을 유치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구단이 수십억원의 투자 유치를 위해 특정인에게 충전소 운영권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가 충전소 부지를 공개 입찰을 통해 민간에 매각하기로 결정하면서 투자자의 반발이 심해졌다는 것.

구단 관계자는 "선수단의 사기 등을 고려해 고육지책으로 대표이사의 지인에게 돈을 빌려서 월급을 지급하게 됐다"면서 "LPG충전소 운영 사업은 적법한 과정과 절차를 밟아 추진하고 있으며, 특정인에게 운영권을 제시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김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