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0년대 군부의 억압시대
90년대 지역신문 부흥기 맞아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가 '언론 춘추전국시대'였다면, 1960~70년대는 '언론통제기'로 볼 수 있다. 해방 후 뉴스 수요 폭증 속에서 신문이 우후죽순 생겨났다면, 1960년대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는 언론통제가 강화된 것이다.
이 시기 경인 언론으로는 1960년 7월 7일 생긴 경기매일신문, 같은 해 8월 15일 창간한 인천신문이 있다.
경기매일은 대중일보에서 시작해 인천신보, 기호일보 등으로 이름을 바꿔왔다. 1961년 5월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11호에 따라 전국 지역일간지 27개가 폐간되고 24개만 발행이 허가된다.
당시 경기도에서 발행이 허가된 신문은 경기매일신문, 인천신문, 경인일보 3개사였다.
하지만 1951년 인천일보라는 제호로 시작돼 1955년 제호를 바꾼 경인일보는 1962년 정부언론정책에 따라 폐간하고 경기매일신문에 흡수된다.
1964년 8월 박정희 정권은 언론윤리를 타율적으로 강제하려는 언론윤리위원회법을 제정하려 했다. 전국 신문과 여론의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이에 언론윤리위법 경기도투쟁위원회가 생겼는데, 투쟁위원장에는 경기매일신문 박민규 주필, 부위원장에는 인천신문 김응태 편집국장, 경기매일신문 조수일 편집국장이 선출됐다.
인천신문은 경기연합일보(1968년 8월)로 제호를 바꾸고 이듬해 4월 인천에서 수원으로 본사를 옮긴다. 또 1970년 10월에는 연합신문으로 개제한다.
1970년대 유신체제 아래 경인 언론은 통폐합의 아픔을 겪는다. 1973년 9월 경기매일신문, 연합신문, 경기일보가 통합해 경기신문을 창간하고 본사를 수원에 둔다.
이때부터 시작된 1도1지(一道一紙) 정책으로 경인 지역에서는 신문의 지역독점체제가 구축됐고, 그 폐단도 많았다.
1980년대는 '언론 길들이기'의 시대였다. 언론 사전 검열이 강화됐다. 독점에 따른 경영실적 개선과 정부 지원 등으로 기자 월급이 100대 기업 수준이었다.
1988년 언론자율화 이후 경인 지역에는 3개 언론사가 창간한다. 1988년 7월에 인천신문(현 인천일보)과 기호신문(현 기호일보)이, 8월에는 경기일보가 창간호를 발행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91년 2월에는 중부일보가 창간했다. 1990년대는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함께 각 지역에 밀착해 행정을 보도하고 감시하는 '본격 지역언론 태동기'를 맞는다.
현재 경기·인천 지역에는 30여개의 일간 신문이 발행되고 있을 정도다.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 신문 등장과 모바일 언론 플랫폼 확산으로 '종이신문의 위기'를 얘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경인일보를 비롯한 경인지역 신문들은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 이를 극복해 내고 있다.
/김명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