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부평 미군기지 캠프마켓 주변 환경오염 실태에 대한 기초조사 현장 사진.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가 60여년 만에 인천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인천시와 국방부가 7월 31일 '주한미군 반환 공영지(캠프마켓) 관리·처분 협약'을 체결했다. 2016년 12월까지 부평미군부대가 평택으로 이전하면 부평구 산곡동 일대 44만㎡ 규모의 부평미군기지를 인천시민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부평미군기지 반환이 가시화됨에 따라 '어떻게 돌려받을 것인가'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게 부평미군기지 인근 부영공원의 토양오염 정화를 둘러싼 논란이다.

지난 6월 말 국방부는 '부영공원 정화작업을 위한 정밀조사' 결과를 부평구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부평구는 국방부에 정화명령을 내렸다. 그동안 부영공원의 토양오염 조사만 6차례나 이어지며 지지부진하던 정화작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하지만 국방부의 정화 기준에 대해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국방부는 관련법에 따라 부영공원의 토양오염 정화를 2지역(임야·잡종지) 기준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부영공원이 지목상 2지역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은 부영공원이 실질적으로 공원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1지역(공원) 기준을 적용하라고 주장한다.

또 정화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다이옥신 등의 독성물질도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최근 부평구도 이 같은 의견을 국방부에 재차 전달했다.

문제는 예산이다. 부영공원의 토양오염 정화기준을 2지역에서 1지역으로 높이면 80억원이 추가로 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방부는 관련법에 의해 정화기준을 높일 수 없다면서도 예산을 확보해주면 가능하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부평구는 국비와 시비를 지원받아 예산을 확보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