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9일 오전 경기도 과천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 기습 이전에 반발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 학부모들이 "사전 협의나 공지 없이 분당신도시 한복판이자 청소년 문화공간에 보호관찰소가 '도둑이사'해 아이들이 범죄에 노출됐다"며 이전 원천 무효를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법무부 산하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의 서현동 이전이 분당구 학보모들의 대규모 항의로 이어진 가운데 이재명 성남시장이 행정대집행 등으로 성남보호관찰소에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시사했다.
이 시장은 지난 8일 오전 자신의 SNS를 통해 "시는 성남보호관찰소를 외곽으로 이전하는 대신 대중교통을 확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해왔으나 이번 기습적인 도심 이전은 뒷통수를 맞은 격이다"라며 "경위가 어떻든 시민들이 용납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과 함께 정치적인 방법을 강구하고 행정권한을 이용해 간접적인 압박을 가하겠다"며 "성남보호관찰소가 입주한 건물을 조사한 결과 100평 가량이 용도를 위반한 것으로 드러나 원상복구를 명령하겠다"고 덧붙였다.
▲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 초중고 학부모들이 성남보호관찰소가 도심 한복판 서현동으로 기습 이전한 데 반발해 보호관찰소 출입로를 막고 직원들의 출근을 저지하고 있다. 지난 5일부터 농성을 시작한 학부모 인파는 이날 오전 11시께 2천100여명(경찰 추산)까지 불어나 주변 도로를 가득 메웠다. /연합뉴스
또 "관할 국회의원과 힘을 합해 대통령의 지시나 법무부의 결단을 이끌어내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청 게시판에는 "이전을 정말 몰랐느냐", "시장은 시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등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김규식·김성주기자
▲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9일 오전 경기도 과천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 기습 이전에 반발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 학부모들이 "사전 협의나 공지 없이 분당신도시 한복판이자 청소년 문화공간에 보호관찰소가 '도둑이사'해 아이들이 범죄에 노출됐다"며 이전 원천 무효를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