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9일 오전 경기도 과천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 기습 이전에 반발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 학부모들이 "사전 협의나 공지 없이 분당신도시 한복판이자 청소년 문화공간에 보호관찰소가 '도둑이사'해 아이들이 범죄에 노출됐다"며 이전 원천 무효를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역이기주의가 아닙니다"

법무부산하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의 서현동 이전이 지역주민과 인근 학교 학부모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성남·광주·하남지역의 1천400명의 보호관찰대상자가 인근 초중고교 학생들이 모이는 서현역 인근에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이같은 불안감에 분당지역의 주민들과 학부모 수천명은 지난 4일부터 성남보호관찰소와 서현역, 정부 과천청사까지 나와 성남보호관찰소이 서현동에서 나갈 것을 촉구하고 있다.

집회에 참여한 유모(42·여)씨는 "성남보호관찰소에서 불과 1km 남짓 떨어진 정자초에서 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데 신원을 알 수 없는 범죄자들에게 노출될까봐 걱정되서 잠을 잘 수도 없다"며 불안감을 호소했다.

유씨는 "아동을 대상으로한 범죄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데다 재범률도 높다고 하는데 학교가 밀집해있고 인근의 초·중·고교 학생들이 모이는 상권에 보호관찰소가 들어온다면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불안에 떨어야하는 것이냐"며 "성남보호관찰소 문제를 단순히 지역이기주의로 봐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 성남보호관찰소 분당 이전. 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 초중고 학부모들이 성남보호관찰소가 도심 한복판 서현동으로 기습 이전한 데 반발해 보호관찰소 출입로를 막고 직원들의 출근을 저지하고 있다. 지난 5일부터 농성을 시작한 학부모 인파는 이날 오전 11시께 2천100여명(경찰 추산)까지 불어나 주변 도로를 가득 메웠다. /연합뉴스

이어 "주민들의 의견수렴은 커녕, 이전한다는 얘기도 없이 새벽에 기습적으로 청사를 옮길만큼 신뢰가 없는 성남보호관찰소가 보호관찰대상자들이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 어떻게 책임을 지겠느냐"고 했다.

특히, 유씨는 보호관찰대상자가 인근의 청소년수련관 등의 시설을 이용할지 모른다는 사실에 걱정하고 있었다.

유씨는 "아이들이 뛰어노는 곳에 보호관찰대상자들이 교육 등의 명목으로 들어온다면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다"며 "법무부는 서현동 이전을 철회하고 도시 외곽으로 청사를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