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밀양지역 송전탑 공사재개 27일째인 28일 오후 경남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84번 송전탑 공사현장에서 철탑 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2차 콘크리트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합뉴스

"밀양 송전탑 문제로 신·구 세대간 골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는 30일(현지시간) 국제면(11면)에 다른 기사없이 경남 밀양 송전탑을 둘러싼 논란과 다툼을 상세히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밀양 송전탑 관련 분쟁을 담은 사진 3장과 밀양의 위치를 지도로 표시한 그래픽도 함께 실었다.

이 신문은 '전선이 길어질수록 신·구 세대간 골도 깊어진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우선 밀양을 '나무와 풀로 된 농촌가옥이 콘크리트로 바뀌었지만 한국 농촌의 옛 전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지역'이라고 소개했다.

집 근처에서 먹을거리를 경작하고, 삶을 마감하면 주변 뒷동산에 묻히는 전통이 남아있는 전형적인 농촌이라고 설명했다.

그런 지역이 송전탑 설치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한국전력이 세우려는 송전탑이 밀양 주민들의 조상묘 위 등을 지나게 되면서 갈등이 싹트기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 경남 밀양지역 송전탑 공사재개 27일째인 28일 오전 경남 밀양시 상동면 상동역 앞에서 한전의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공사중단을 촉구하는 국토 종단 걷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최근 2년여에 걸친 이 지역 주민들의 송전탑 설치 반대 움막 농성 과정을 전했다.

실례로 올해 추석 후 계속 움막에서 머무는 손희경(78) 할머니의 얘기를 소개했다. 손 할머니가 "차라리 내 시체 위해 송전탑을 세우라"며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며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신문은 밀양 송전탑 문제가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났던 '신·구 갈등' 문제를 보여준 또 하나의 예이지만 최근 들어 한국내에서 높아지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깊은 우려가 배어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한국전력이 밀양 송전탑 건설을 강행하는 것은 '신고리3호기 원전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밀양 송전탑 건설이 필수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며, 이를 통해 원전수출국으로서의 능력을 외국에 보여주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환경보호론자들의 주장도 자세히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지지와 관심이 크게 줄었지만 한국이 현재 보유·운영하고 있는 원전의 안전문제에 대한 논란과 의구심은 당국의 허위 발표 등으로 인해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뉴욕=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