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계 온도 측정 성공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지구로부터 약 4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의 온도 측정에 성공한 것.
지난해 12월 31일 과학매체 사일런스 데일리는 미국 시카고 대학 천문학과 연구팀이 허블우주망원경을 활용해 글리제 1214b의 표면온도를 측정했다고 보도했다.
글리제 1214b는 지구로부터 뱀주인자리 방향으로 약 40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1214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행성으로 알려졌다.
이 행성은 강한 중력으로 대기가 안정적이고 화산 폭발 등의 지각운동도 활발해 생명체 탄생에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어 슈퍼지구형 행성으로 분류됐던 행성이다.
시카고 대학 천문학과 조교수 제이콥 빈과 로라 크레디버그 연구원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난 11개월간 관측간 글리제 1214b의 데이터를 분석해 두꺼운 대기층의 존재를 확인했고 표면온도가 섭씨 232도임을 밝혀냈다.
기존에는 표면 온도가 섭씨 120~282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으나 정확한 수치가 측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성공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성공, 232도면 생명체 못 살겠다"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성공, 과학의 발전은 어디까지인가" "외계 행성 온도 측정 성공, 우주에 지구같은 행성이 분명히 있을거야"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