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해 활성단층 발생 주장이 제기돼 화제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우리나라 서해에 거대한 활성단층이 생겼다는 주장이다.
6일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보령 앞바다 지진의 경우 북동 방향과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진 단층대의 형태가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한반도 지진 발생수가 역대 최다인 93회를 기록한 것도 활성단층의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며 "해역과 내륙 활성단층대에 대한 정밀 진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한반도에서는 93차례의 지진이 발생해 1978년 계기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다 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서해 활성단층 발생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서해 활성단층 발생, 일본은 도움이 안돼" "서해 활성단층 발생, 괜찮아 우리에겐 거대 방파제 일본이 있으니까" "서해 활성단층 발생, 지진이라니 무섭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