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19곳 2억3321만㎡ 달해
인근 화성시 14개소 7천만㎡
농림지 메우고 산 깎아 만든
공장들 더 이상 확장 불가능


96만여명이 사는 대도시 용인에 산업단지가 없다. 경기남부지역 지자체 가운데 산단이 없는 유일한 지자체로 남아 있다.

산단이 없다보니 기업 환경도 열악하다. 대기업은 떠나고 기업 유치는 지지부진하다. 인구는 늘어나는데 생산시설은 제자리에 머물면서 재정자립도가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경전철사태로 시의 재정난은 최악의 상황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시는 민간자본을 유치한 산단조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런 저런 사유로 이마저 여의치 않다.

경인일보는 3회에 걸쳐 산단 하나 없는 용인시의 열악한 기업환경 실태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경기도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용인시에 산업단지 하나 없다는 게 놀랍지 않습니까."

올해 초 용인부시장으로 부임한 황성태 이사관은 일반산업단지 현황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바로 옆 화성시는 산단이 14개소 7천만㎡가 넘는데 용인 관내에는 단 한곳도 없었기 때문이다.

부임 전 경기도청의 경제투자실장이었던 그는 "참으로 이상하다. 그동안 용인시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2013년말 기준으로 경기도내에 지정된 산업단지는 119개소 2억3천321만7천㎡에 달한다. 유형별로는 국가산단이 4개소 1억7천887만6천㎡, 일반산단 113개소 5천396만9천㎡, 도시첨단산단 1개소 25만5천㎡, 농공산단 1개소 11만7천㎡ 등이다.

주요 지역을 보면 수원시 3개소 120만5천㎡, 성남시 2개소 180만7천㎡, 평택시 15개소 3천196만1천㎡, 안산시 2개소 1천477만7천㎡, 이천시 6개소 31만㎡, 안성시 21개소 427만㎡, 김포시 10개소 543만4천㎡, 화성시 14개소 7천61만3천㎡ 등이다.

이 도표에 용인시는 지정 산단 0개소 면적 0㎡로 표기돼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용인시에는 1천801개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도 용인에 있다.

하지만 산단이 없다보니 기업 환경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공장들이 밀집한 남사지역은 난개발의 전형을 보여준다. 준농림지에 대한 규제가 완화됐던 시기에 멀쩡한 농림지를 메우고 산을 깎아 만든 공장들은 이제는 더 이상 확장하기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때문에 용인에서 기업을 운영하겠다는 사업가들은 많지만 이들을 수용할 공장부지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기업이 입주할 산단이 없고, 공장부지를 조성하려니 각종 법규제에 발목이 잡혀 헛발질만 되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시는 전 지역이 토지이용 중복규제 지역으로 묶여 기업 입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처인구 모현·포곡·양지·백암·원삼면 일원 308㎢는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자연보전권역으로 묶여 있다. 모현면 50.4㎢는 환경정비기본법상(팔당상수원)특별대책지역 1권역, 포곡읍·양지면 등 6개 읍면동 157.1㎢는 2권역으로 지정돼 있다.

포곡읍을 비롯한 7개 지역 11.3㎢는 군사시설보호구역, 광교산 일원 9.3㎢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진위천 일원 1.3㎢는 상수원보호구역으로 규제를 받고 있다.

특히 전체 면적의 70%를 차지하는 동부권(처인구)은 각종 규제가 중첩돼 공장 입지를 원천적으로 틀어막고 있는 실정이다.

오세호 시 기업지원과장은 "용인시의 경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평택-음성 고속도로 등 수도권 남부 교통중심지로서 교통과 접근성이 좋아 기업 선호도가 매우 높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기업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현실의 벽이 높아 안타깝다"고 전했다.

용인/홍정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