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용지 도내전체 3.0%불과
매년 업체·종사자수 '제자리'
재정자립도↓ 지역경제 타격
아파트개발로 기존기업 이탈
인구대비 생산시설 절대부족


지난 2004년, 용인시는 남사면 봉명리 일원 105만7천600여㎡에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하고 법 절차를 밟고 있었다.

경전철 건설과 분당연장선의 차고지로 편입되는 기흥구 구갈리 녹십자 공장과 용인권 공장들을 이전·유치한다는 구상이었다.

당시 시설확장이 절실했던 삼성전자도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용인시의 꿈은 산산조각 났고, 남사산업단지는 물거품이 됐다. 이웃인 평택시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법에 저촉된다며 협의를 불허한 것이다.

남사면 이장단과 용인시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해 백방으로 나섰고, 경기도까지 거들었지만 '식수원'의 덫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

녹십자는 용인을 떠났고, 무수한 기업들이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화성으로 뻗어나갔다.

용인시 통계자료에 따르면 관내 산업용지 면적은 4.764㎢로, 경기도 전체 산업용지 159.75㎢의 3.0%에 불과하다. 수도권 규제와 팔당상수원 규제 등 중첩 규제에 묶인 데다 산업단지 한 곳 없다 보니 도내 타 시·군에 비해 산업용지 확보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규제에 규제가 덧씌운 열악한 기업입지 조건은 관내 기업들의 증가 추이에서도 뚜렷하게 증명된다.

2009년 1천663개 기업에 5만2천707명의 종사자가 있었고, 2010년 1천624개 업체 5만2천453명, 2012년 1천752개 업체 5만4천560명, 2013년 1천801개 업체 5만5천174명으로 집계됐다.

5년 사이 업체수는 고작 8%(138개), 종사자수는 4.6% 증가에 머문 것이다.

규모별로는 2009~2013년 사이 대기업(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은 14개에서 오히려 12개로 줄었고, 중기업(상시 근로자 50~300인)은 136개에서 142개로 6개 업체(4%), 근로자는 1만3천966명에서 1만4천235명으로 269명(2%)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종업원 50인 미만(일부 업종은 10인 미만) 규모의 소기업은 1천647개 업체 2만1천179명으로 용인 관내 전체 근로자의 38%가 소규모 영세기업에 다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체와 종사자수가 사실상 제자리에 머물면서 세수가 감소하고 재정자립도가 떨어지는 등 지역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실제로 2010년 1조2천123억8천400만원에 달했던 세수입은 2011년 1조1천603억원, 2012년 1조1천246억원, 2013년 1조1천221억원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재정자립도도 66.2%에서 지난해 63.8%로 2.4%포인트 낮아졌다.

올해는 세수입이 1조716억6천600만원에 그치면서 재정자립도 역시 57.5%에 머물러 사상 처음으로 50%대를 기록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중심의 택지개발로 기존 기업이 이탈하고 급격한 베드타운화로 도시인구 대비 생산시설이 절대 부족한 게 용인시의 현주소다"며 "인구는 증가하는데 세수는 감소하는 암울한 현실을 바꿔 놓을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용인/홍정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