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는 한국의 전통 덕목이었던 '선비의 자세' 실종때문에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는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 주최로 열린 '제3회 퇴계학과 근기실학 공동학술회의'에서 "세월호 참사의 핵심원인은 문화의 결여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왜 우리는 지금 여기서 선비를 다시 논하는가'란 주제의 토론에서 "회사 경영자, 선장, 승무원 각자가 자신이 세상을 책임지는 존재란 선비적 사명감과 자질, 즉 인(仁)과 의(義)의 도덕을 몸에 익혔더라면 사고는 그렇게 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설사 예기치 않은 사고가 났더라도 그렇게 인간다움이 처절하게 배반당하는 부끄러운 일은 저지르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의외의 참사를 당하면서 우리가 그토록 발전의 이름하에 정신없이 달려왔던 지난 과정의 필연적 문제가 드디어 터지기 시작한다는 점을 발견한다"며 "그 문제의 핵심은 우리가 전통시대에 이상적 덕목으로 삼은 유자(儒者), 즉 선비의 자세를 지니지 못하는데 있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선비를 '수단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터득해 입신출세를 도모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찾고 이를 공공의 가치로 삼아 생활속에서 실천하기를 생명으로 삼는 도덕적 존재를 추구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김 교수는 "과정의 정당성 없이 결과만 중시하는 철학으로 사람의 평가에서 유학적 선비의 장점을 다 몰아냈다"며 "도덕적 기준에 충실해지려는 사람은 바보가 되는 세상이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이번 학술회의는 서구적 지식인과 동아시아의 선비를 생각하면서 성리학시대, 실학시대, 그리고 민족운동기 유가(儒家) 선비의 현실 인식과 그 대응 양상을 살피고 성리학과 실학의 학적 계승·전환을 넘어서서 민족사의 창조적 발전에 기여한 지식·지도층의 역사적 성격과 현실적 과제를 되짚어 보는 학술회의다.
조동일 서울대 명예교수가 '지식인과 선비', 이성무 한국역사문화연구원장이 '조선 선비의 유교정치체제', 정순우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퇴계의 시대정찰과 선비의식', 김상준 경희대 교수가 '다산의 시대정찰과 선비의식', 김시업 실학박물관장이 '심산 김창숙의 선비정신과 민족운동'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를 했다.
이어 송재소 퇴계학연구원장의 사회로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 미야지마 히로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 양승태 이화여대 교수, 임형택 성균관대 명예교수, 김기승 순천향대 교수, 김형수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 등이 종합토론에 참여했다.
/김신태기자
[세월호 침몰]'세월호 침몰 원인은 선비 자세의 실종'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 '퇴계학과 근기실학 공동학술회의'서 지적
입력 2014-05-13 19:1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05-14 1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세월호 침몰]해경, 해양구조協 회비 16억 거둬줬다
2014-05-13
-
[세월호 침몰]유병언 장남 소환불응…유 前 회장 우선 소환 검토
2014-05-13
-
[세월호 침몰]환히 웃는 영정앞에 '왈칵'
2014-05-13
-
[세월호 침몰]中 대학생들 '기적을… 기도합니다'
2014-05-13
-
[세월호 침몰]교사가 수업중에 세월호 유언비어
2014-05-13
-
[세월호 침몰]인천 해운조합 선박 안전점검 '총체적 부실'
2014-05-13
-
[세월호참사] 침몰 28일째… 합동분향소 조문객 50만 넘어
2014-05-13
-
[세월호 침몰]단원고 희생자 5명 의사자 지정 '차일피일'… 이유는?
2014-05-13
-
'어디 숨었나' 검찰-유병언 일가 숨바꼭질
201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