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이 1일 취임, 인천의 민선 6기 시대를 열었다.
'힘 있는 시장'임을 강조해 온 유 시장이 취임함에 따라 인천의 각종 현안이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 돌파구를 찾게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9월 개막하는 인천아시안게임은 '유정복호'의 시정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수 있는 첫 실험대이다.
유 시장은 대회를 치르는 데 부족한 예산을 정부로부터 추가 확보하고 아시안게임을 남북화해의 장으로 활용하는 데 주력할 전망이다.
정부에 요청한 특별교부세 365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을지, 북한팀의 참여 속에 아시안게임을 안전하게 치를 수 있을지가 대회 성공 개최의 관건이다.
아울러 부채 감축 문제는 인천의 최우선 현안이다.
인천시 부채는 현재 13조원에 이른다. 무분별한 개발사업으로 늘어나던 빚은 2008년 국제금융위기로 유동성 악화를 겪으며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빚을 어떻게, 얼마나 갚아나갈 것인지는 '유정복호'가 4년간 끊임없이 고민해야할 과제다.
민선 5기 때 이미 인천터미널, 송도 6·8 공구 등 2조3천억원의 자산을 매각한 터라 더 이상의 자산 매각으로 빚을 갚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경인고속도로·경인전철 지하화 사업 등 막대한 예산을 요구하는 사업도 즐비해지출을 줄여 부채를 줄이는 것도 여의치 않다.
유 시장은 부동산팀과 국비확보팀으로 구성된 재무개선단을 신설, 국비와 교부세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정무부시장 직제는 경제부시장으로 바꿔 부채 관리 업무를 전담토록 할 방침이다.
또 시장 직속으로 투자유치단과 규제개선단을 설치, 시장이 직접 뛰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인천 지역경제 '파이'의 크기를 최대한 늘린다는 전략이다.
인천의 재정난은 10월 아시안게임 종료를 계기로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그러나 내년부터 5천억원 규모의 지방채 상환이 도래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긴축재정 관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인천시는 유 시장의 임기 안에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문제와 관련,서울시·경기도와 '일전'을 치러야 한다.
수도권 쓰레기를 처리하는 매립지 사용기한은 2016년 말 종료된다. 그러나 서울시와 경기도는 현재 매립지의 수용능력을 고려할 때 추가 매립이 가능하다며 2044년까지 사용 연장을 주장하고 있다.
인천시 입장에서는 악취 피해에 시달려 온 지역 주민의 입장을 고려, 2016년 사용 종료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유 시장도 같은 생각이다.
그러나 2016년 사용 종료 원안을 고수하면 당장 대체 매립지를 찾아야 한다. 반대로 매립지 사용 연장을 허용한다면 서울·경기로부터 충분한 반대급부를 얻어낸다하더라도 지역 주민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게 된다.
유 시장으로서는 인천과 인접 광역단체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묘안을 짜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인천 육지와 영종도를 잇는 세 번째 교량 '제3연륙교'가 유 시장의 임기 안에 위용을 드러낼지도 관심거리다.
사업비 5천억원은 청라·영종지역 개발 당시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했기 때문에 이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손에 쥐고 있다.
그러나 개통 이후 영종대교·인천대교 등 기존 교량 운영사가 입게 될 손해를 누가 보전해줄 것인지를 둘러싼 논란 때문에 착공조차 못 하고 있다.
인천시는 국토교통부·LH와 공동 분담해야 한다고 하지만 국토부는 인천시가 전액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 시장은 제3연륙교 건설과 관련, 국토부·LH와 심도 있는 논의를 해왔다며 사업 추진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경인전철·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등 수년째 진척이 없는 사업들도 유 시장의 취임 이후 새로운 동력을 얻을지 주목된다.
유 시장은 임기 안에 어떤 형태로든 이들 사업의 시작점을 만들겠다며 사업 추진에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밖에 인천역 KTX 연결사업은 현재로서는 전망이 밝다.
유 시장은 KTX 연결사업이 수인선과 경부고속철도를 연결하면 전액 국비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강조해 왔다. 2016년 정부의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수립 때 사업내용이 반영되면 KTX 연결사업은 한층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