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절성 우울증이란 /아이클릭아트 제공
계절성 우울증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뜨거웠던 여름이 지나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환절기에는 계절성 우울증 환자가 많아진다. 

게절성 우울증이란 찬바람이 부는 환절기에 기분이 처지는 증상을 말한다. 여름에서 가을로, 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면서 일조량은 줄어들고, 일조량이 적어지면 우리 뇌는 정서를 관장하는 세로토닌이란 신경전달물질을 적게 생산해 외롭고 우울한 감정이 생기게 만든다.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떨어졌을 때도 계절성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 뇌의 시상하부는 외부 변화에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 이상이 생길 시 계절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기분이 많이 처지게 된다. 

몸이 아픈 것도 아닌데 나른하고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초조하고 긴장하는 일이 자주 있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히 계절성 우울증은 식욕이 떨어지고 잠을 못 자는 일반 우울증과 달리 오히려 음식을 많이 먹고 잠이 부쩍 늘어나는 증상을 동반한다. 

계절성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맑은 날 가볍게 산책이나 조깅을 하는 등 야외활동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이 감소해 생기는 증상이므로, 햇볕을 많이 쬐어주면 인체 리듬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증상이 완화된다. 

한국건강관리협회는 "환절기에 우울한 기분이 들면 밖에서 자전거를 타거나 조깅 등을 하는 것도 기분전환에 좋은 방법"이라며 "우울한 기분이 들면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이고 가까운 사람들과 꾸준히 대화하며 극복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