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등 저소득국 "물가 비싸"
무료버스투어외엔 숙소에만
부유한 중동·홍콩·일본선수
가방·옷 수십~수백만원 구매


이번 인천아시안게임에서 국가별로 대조를 보이는 것은 메달 숫자만이 아니다. 경제수준에 따라 경기장밖 선수단의 씀씀이에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과 일부 부유한 중동국가의 선수단은 백화점 명품쇼핑 등을 즐기는 반면 소득수준이 높지 않은 국가의 선수단은 선수촌밖으로 나갈 엄두도 못내고 있는 것이다.

24일 인천지역 백화점 관계자 등에 따르면 아시안게임 개막 이후 백화점을 찾는 외국 선수단의 국적은 중동국가를 포함해 중국, 홍콩, 일본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가방·옷·화장품 등을 구매하면서 적게는 10만원대에서 많게는 500여만원까지 지출하고 있다고 백화점 관계자들은 전했다.

실제로 이날 한 백화점의 명품가방점에는 중국 선수·관계자들이 AD카드를 건 채 가족 등에게 선물할 제품을 구매하고 있었고, 점심 한 끼에 1만~2만원선인 백화점내 고급 식당에도 중국, 마카오 등의 선수단이 꽉 차 있었다. 고우쳉이(18·여·마카오 싱크로나이즈드) 선수는 "선수촌 음식만 먹다보니 질려 이 곳에 와서 불고기 정식을 먹었다"고 말했다.

반면 선수촌 밖으로 나올 엄두도 못내는 선수단도 있다. 지난 23일 인천시에서 제공한 무료 버스시티투어에 참가한 선수들은 "그동안 물가가 너무 비싸서 쇼핑은 커녕 밖에서 음식을 먹을 생각도 안 하고 오로지 선수촌에서만 있었다"고 말했다.

네팔의 트릴로찬(45·선수단 매니저)씨는 "우리 선수들에게 국제대회는 '즐기러'온다기 보다 '먹고 살기 위해' 오는 측면이 더 크다"고 말했다.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무료 버스시티투어에 참가한 외국인 50여명도 주로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 출신이었다.

23일 저녁 선수촌과 가까운 구월동 로데오 거리에서는 중국·홍콩·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온 선수단은 식당에서 고기를, 한 저소득 국가 선수단은 야외광장에서 과자 봉지를 놓고 소주를 나눠마시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