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개최국 경제 성장률 저하" 박광우 교수 분석
중국·그리스 사후 계획없이 투자한 결과… 재정 부담
인천도 지역실정 따라 의료관광 접목 등 방안마련을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 등 대형 스포츠이벤트가 개최국의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린다는 분석이 있다.

경기장 건설에 들어간 막대한 예산과 대회가 끝난 후 이들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비 부담 증가로 경제성장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장 사후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 미흡한 경기장 활용, 경제성장률 저하 부른다

박광우 카이스트(KAIST) 경영대학 교수는 최근 '메가스포츠 행사 개최의 경제적 효과'라는 글에서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들은 경제성장 모멘텀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하계·동계 올림픽 개최국의 경제성장률을 분석한 결과다.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는 개최 이후 대회 유치 경쟁을 벌였던 탈락국에 비해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의 경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직전 14%가 넘는 경제성장률을 보이다가 올림픽 개최 이후 성장률이 9%까지 떨어졌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개최한 그리스는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고 있다. 그리스는 경기장 시설을 유지·관리하는 데만 매년 5억유로(약 6천900억원)를 쓰고 있다.

박 교수는 "대회 개최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쓰지만 개최 이후 남는 건 거액의 경기장 유지보수비와 쌓이는 적자"라며 "경기장 시설에 대한 사후 활용방안 없이 투자를 진행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도 이 같은 부분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 지역 실정에 맞는 구체적 전략 시급

전문가들은 신축 경기장이 지역 실정에 맞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입지 여건상 대형마트나 영화관, 웨딩홀 등 상업시설 유치가 유리한 경기장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기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용하 인천발전연구원 초빙선임연구위원은 "모든 경기장에 대형마트 같은 상업시설을 넣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주경기장 같은 큰 경기장은 큰 경기장에 맞게, 남동체육관 같은 작은 경기장은 작은 경기장에 맞게 맞춤형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했다.

신축경기장을 의료관광과 도시형 실버타운, 도시숲 등과 접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전문가도 있다.

이창길 인천대 교수는 "신축경기장의 입지 여건이 맞는다면, 새롭게 주목되는 산업과 경기장을 접목해 운영하는 방법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며 "체육시설이라는 본연의 기능을 살리면서도, 지역 복지와 문화를 담당할 중심지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현준·박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