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치원 초상화 정읍 환안.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가 47년만에 전북 정읍으로 돌아오는 최치원의 초상화. 이 초상화는 통일신라 말기 유학자인 최치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무성서원에서 1831년께 제작한 것으로, 보존 처리를 위해 1967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뒤 돌아오지 못했다. /연합뉴스=정읍시 제공 |
15일 정읍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된 최치원 초상화를 장기 대여 방식으로 돌려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치원의 초상화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무성서원에서 1831년께 제작한 것으로, 보존 처리를 위해 1967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뒤 관련 서류가 사라져 지금까지 돌아오지 못했다.
정읍시와 무성서원은 오는 17일 최치원 초상화 환안 고유제를 연 뒤 정읍시립박물관에서 한 달 동안 이 초상화를 일반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무성서원은 최치원이 지금의 정읍 칠보·태인·산내 일대를 돌보는 태산군수로 재임하며 쌓은 공적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성종 때(1483년) 건립된 태산사에서 시작됐으며 숙종 22년(1696년)에 무성서원으로 사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