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이 19∼20일 이어진 시아파 반군 후티의 무력행사에 굴복해 권력 분점 등 9개 사항에 합의했다고 국영 통신 Saba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정부는 전복되지 않았지만 후티의 정치적 권한을 강화하는 요구 대부분이 관철됨으로써 사실상 '쿠데타'가 성사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하디 대통령은 다른 원내 정파와 마찬가지로 의회와 정부, 군부 요직에 후티 측 인사가 기용될 수 있는 공식 권한을 부여하라는 후티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모든 정파의 합의를 전제하긴 했지만 후티의 주장대로 연방제 시행과 관련한 신헌법 초안 내용도 수정하기로 했다.
후티는 대신 수도 사나의 대통령궁과 사저, 총리 공관 등 점령 시설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17일 납치한 아흐메드 아와드 빈무함마드 대통령실장을 석방키로 했다. 또 사나 시내 곳곳에 설치한 자체 검문소도 없애기로 합의했다.
하디 대통령은 21일 낸 성명에서 "후티와 권력을 분점하고 신헌법 초안을 수정하고 삭제·추가할 준비가 됐다"며 "후티는 정부의 모든 기관에 임명될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이 합의 내용에 대한 다수당인 국민의회당(GPC) 등의 반응은 미지수여서 갈등의 불씨는 살아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이와 관련, 하디 대통령이 후티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할 것이라며 예멘 정치지도자들과 미국 정부가 회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젠 사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로이터통신에 "예멘의 합법적 정부 수반은 하디 대통령"이라고 확인했다.
이번 후티의 무력행사는 예멘을 6개(북부 4개·남부 2개) 자치지역으로 나뉜 연방제로 전환하는 내용의 신헌법 초안이 제정되려고 하면서 촉발됐다.
이 연방제 안은 지난해 1월 끝난 범국민대화협의회(NDC)에서 합의됐지만, 후티는 자신의 세력이 약화할 것을 우려해 이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남북 연방제 시행을 주장해 왔다.
빈무바라크 대통령실장을 납치한 것도 그가 신헌법 초안의 실무를 담당하는 '국민대화'의 의장이었기 때문이다.
후티는 19일 수도 사나에 전투병력을 투입하고 시가전을 벌여 대통령궁 일대와 국영 방송사, 총리 공관 등을 무력으로 장악한 데 이어 20일 대통령이 머무는 사저를 포위하면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지난해 9월 '평화·협력합의(PNPA) 체결 뒤 후티는 하디 대통령과 공조하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미국이 후티 지도자 2명을 특별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관계가 틀어졌다. 예멘 정부가 미국의 제재 조치를 용인했다는 이유에서다.
걸프 지역 6개 국가로 구성된 걸프협력이사회(GCC) 외무장관들은 21일 낸 긴급성명에서 "사나에서 20일 일어난 일은 합법적인 정권에 맞선 쿠데타"라며 하디 정권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20일 낸 언론성명을 통해 "하디 대통령을 합법적 정부 수반으로 인정한다"며 "예멘의 모든 정파와 정치인은 국가의 안정과 안보를 위해 하디 대통령과 현 내각에 협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디 대통령을 지지하는 남부 중심지 아덴은 후티의 무력행사에 항의하는 뜻으로 21일 오전부터 국제공항과 항구를 비롯해 도시에 진입하는 도로를 폐쇄했다.
/두바이=연합뉴스
정부는 전복되지 않았지만 후티의 정치적 권한을 강화하는 요구 대부분이 관철됨으로써 사실상 '쿠데타'가 성사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하디 대통령은 다른 원내 정파와 마찬가지로 의회와 정부, 군부 요직에 후티 측 인사가 기용될 수 있는 공식 권한을 부여하라는 후티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모든 정파의 합의를 전제하긴 했지만 후티의 주장대로 연방제 시행과 관련한 신헌법 초안 내용도 수정하기로 했다.
후티는 대신 수도 사나의 대통령궁과 사저, 총리 공관 등 점령 시설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17일 납치한 아흐메드 아와드 빈무함마드 대통령실장을 석방키로 했다. 또 사나 시내 곳곳에 설치한 자체 검문소도 없애기로 합의했다.
하디 대통령은 21일 낸 성명에서 "후티와 권력을 분점하고 신헌법 초안을 수정하고 삭제·추가할 준비가 됐다"며 "후티는 정부의 모든 기관에 임명될 권한이 있다"고 밝혔다.
이 합의 내용에 대한 다수당인 국민의회당(GPC) 등의 반응은 미지수여서 갈등의 불씨는 살아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이와 관련, 하디 대통령이 후티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할 것이라며 예멘 정치지도자들과 미국 정부가 회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젠 사키 미 국무부 대변인은 로이터통신에 "예멘의 합법적 정부 수반은 하디 대통령"이라고 확인했다.
이번 후티의 무력행사는 예멘을 6개(북부 4개·남부 2개) 자치지역으로 나뉜 연방제로 전환하는 내용의 신헌법 초안이 제정되려고 하면서 촉발됐다.
이 연방제 안은 지난해 1월 끝난 범국민대화협의회(NDC)에서 합의됐지만, 후티는 자신의 세력이 약화할 것을 우려해 이에 강력히 반발하면서 남북 연방제 시행을 주장해 왔다.
빈무바라크 대통령실장을 납치한 것도 그가 신헌법 초안의 실무를 담당하는 '국민대화'의 의장이었기 때문이다.
후티는 19일 수도 사나에 전투병력을 투입하고 시가전을 벌여 대통령궁 일대와 국영 방송사, 총리 공관 등을 무력으로 장악한 데 이어 20일 대통령이 머무는 사저를 포위하면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지난해 9월 '평화·협력합의(PNPA) 체결 뒤 후티는 하디 대통령과 공조하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미국이 후티 지도자 2명을 특별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관계가 틀어졌다. 예멘 정부가 미국의 제재 조치를 용인했다는 이유에서다.
걸프 지역 6개 국가로 구성된 걸프협력이사회(GCC) 외무장관들은 21일 낸 긴급성명에서 "사나에서 20일 일어난 일은 합법적인 정권에 맞선 쿠데타"라며 하디 정권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20일 낸 언론성명을 통해 "하디 대통령을 합법적 정부 수반으로 인정한다"며 "예멘의 모든 정파와 정치인은 국가의 안정과 안보를 위해 하디 대통령과 현 내각에 협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디 대통령을 지지하는 남부 중심지 아덴은 후티의 무력행사에 항의하는 뜻으로 21일 오전부터 국제공항과 항구를 비롯해 도시에 진입하는 도로를 폐쇄했다.
/두바이=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