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 일본인 인질 살해 영상 사진에 음성 덧씌워.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로 추정되는 세력에 의해 일본인 유카와 하루나(湯川遙菜) 씨와 고토 겐지(後藤健二) 씨가 납치된 가운데 유카와 씨가 살해됐다고 설명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이날 유튜브에 공개된 영상에는 고토 씨로 보이는 인물이 사진을 들고 서 있는 모습이 등장하며 '당신들은 나와 함께 갇혀 있던 유카와 하루나 씨가 살해된 사진을 봤다'는 영문 음성이 덧붙어 있다. 일본 정부는 용납할 수 없는 폭거라고 비판하고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유튜브 캡처, 일부 모자이크 처리
IS 일본인 인질 살해 공개 영상이 기존과 다른 형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인 인질 두 명을 납치한 세력이 이 가운데 한 명을 살해했다며 공개한 영상이 '이슬람국가'(IS)가 기존에 내놓은 것과 다른양상을 보이는데, 동영상이 아닌 사진에 음성을 덧씌운 영상을 사용한 것이 큰 차이다.

여기에는 일본 정부 등을 혼란스럽게 해 주도권을 쥐고 상황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IS는 그동안 서방 인질을 참수했다는 증거로서 동영상을 게시해왔지만, 24일 유카와 하루나(湯川遙菜·42) 씨를 살해했다는 주장과 함께 공개된 것은 사진과 음성 메시지가 결합한 영상이었다.

동영상 재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시청하는 형태이지만 실상은 다른 인질인 고토 겐지(後藤健二·47) 씨가 사진을 들고 서 있는 장면을 찍은 사진을 배경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영상과 결합한 영어 음성은 고토 씨가 든 사진이 유카와 씨가 처형됐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라는 내용을 포함하지만, 사진의 선명도가 높지 않아 등장인물이 유카와씨인지 확실하지 않고 숨진 모습을 담은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아울러 이달 20일 일본 정부가 공식 확인한 인질 살해 위협 동영상에 등장했던 IS를 상징하는 로고가 24일 공개된 영상에는 없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 역시 IS가 만든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지금까지처럼 인질을 살해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방식을 대신 상대적으로 모호한 메시지를 전한 셈이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살해 협박 영상이 공개됐을 때는 물론이고 처형했다고 주장하는 영상이 나오고 나서도 사실 관계를 확정하지 못하고 분석 중이라는 반응을 반복하고 있다.

▲ IS 일본인 인질 살해 영상 사진에 음성 덧씌워.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로 추정되는 세력에 납치되어 24일 오후에 살해됐다는 영상 메시지가 유포된 일본인 유카와 하루나(湯川遙菜·42) 씨의 아버지 쇼이치(正一) 씨가 25일 오전 일본 지바(千葉)현 지바시의 집에서 심경을 밝히고 있다. /지바 교도 연합뉴스
이런 관점에 보면 모호한 영상이 일본 정부가 똑 부러진 대응을 못 한다는 이미지를 낳은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인질을 한 명만 살해했다고 밝히고 나머지 한 명을 살리는 조건을 제시한 것에도 IS로 추정되는 세력의 전략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최초의 요구였던 몸값 2억 달러는 테러 세력에게 자금을 대는 결과를 낳고 앞으로 일본인이 표적이 되게 할 우려가 있다는 점 때문에 일본 정부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이후 인질을 억류한 세력은 한 명을 살해했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는 동시에 몸값 요구를 철회하고 테러리스트 사지다 알리샤위의 석방이라는 다른 조건을 제시했다.

이는 새로운 조건이 상대적으로 수위가 낮다는 인상을 부각해 일본 여론을 자극하고 일본 정부로 하여금 자신들의 뜻에 따라 움직이게 하려는 의도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애초 목적이 알리샤위의 석방이었는데 일부러 거액을 요구해 새로운 조건이 들어주는데 부담이 적다는 판단을 유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

실제로 영상 메시지에는 "테러리스트에게 자금을 대주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실현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고토)의 목숨을 구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 강조하고 싶다"는 등의 발언으로 일본 정부가 새로운 조건을 수용하라고 종용하는 대목이 있다.

이 음성 메시지를 누가 낭독한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토 씨 본인의 목소리와 닮았다고 하는 지인들도 있으며 이 역시 여론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