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계약만료·착공이유 농사 불허
지난달 시장면담 요구도 묵묵부답
“검단신도시 개발계획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개발사업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유휴농지에서 경작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게 주민들이 원하는 전부입니다.”
6일 오전 검단신도시주민대책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이순현 위원장은 “주민들이 검단개발 사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는데도 인천시가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개발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 내에서 주민 생업을 유지하기 위해 양해를 구하는 것조차 외면당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검단지역은 지난 2006년 10월 검단신도시개발사업을 위한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이후 2009년 2월 개발 승인이 났다. 현재 개발 예정지역은 1천118만㎡(340만여 평) 규모로 토지(94%)와 지장물(84%), 주거이전 및 간접(45%) 보상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지역 주민과 공장 등을 합치면 사업지구 내 75%가량이 보상을 받고 이전했다.
2009년 사업 착수 당시 검단 지역에 살고 있던 주민은 5만여명. 이 중 현재 남아 있는 주민은 6천여명. 남아 있는 일부 주민들은 개발사업이 지체되면서 지난 2013년과 2014년 2년 동안 사업시행사인 LH로부터 수용된 유휴농지 위탁관리계약을 맺고 농사를 짓고 있다.
위탁관리 유휴농지는 330만5천여㎡(100만여 평), 이 중 45%가량이 논이고 나머지는 과수원, 채소 등을 경작하는 밭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민들은 이곳에서 쌀과 과일, 채소 등을 경작해 1년 평균 6억원 정도의 수익을 올렸다고 한다.
주민들은 지난 2년 동안 자발적으로 유휴농지 위탁관리료 명목으로 2억여원을 모아 사업시행 주체인 LH와 인천도시공사에 불우이웃 돕기 성금으로 기부하기도 했다. 그러나 LH 측이 올해부터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중장비를 동원해 유휴농지를 정비하면서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농사짓던 땅을 잠시라도 내버려 두면 금방 망가집니다. 여름에는 모기 등 해충이 들끓기도 하고요. 농사를 지으면서 관리한다면 환경피해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위원장은 “LH 측이 위탁관리계약 기간 만료와 10월 사업 착공을 이유로 농지를 갈아엎고 있다”며 “10월이면 농작물 수확이 완료되는 만큼 개발사업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지금이라도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해준다면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희망했다.
이 위원장은 “조상 대대로 거주해온 터전에서 강제로 이주하게 될 처지에서도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왔다”며 “시도 개발 진행 절차에 대한 정보를 주민들과 공유하고 아직 구체화 되지 않은 생활대책 마련에 대해 성의 있게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검단신도시주민대책위는 지난달 말 개발사업 진행 사항 설명과 유휴농지 경작을 요구하며 유정복 시장 면담을 요구했으나 아직 아무런 답변을 듣지 못한 상태다.
/이진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