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묘지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과 관련 전문가들은 현충원이 제대로 된 과거 청산과 안장의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태에서 출발한 점을 지적했다.

김준혁(48) 한신대 정조교양대학 교수는 “제 1 국립묘지인 현충원은 본래 한국전쟁 이후 전사자를 안장하는 장소로 시작됐다”며 “하지만 광복 전후 완벽한 일제청산이 실패하고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친일 군·경들이 전쟁에 참전, 전사해 국립묘지에 안장되면서 현충원을 둘러싼 역사적 논란이 점화됐다”고 설명했다.

친일과 반공의 과공이 교차하는 역사적 교집합에서 균열이 생겼다는 얘기다.

이런 논란이 국가적, 국민적 합의로 종결되지 못한 채 수십년 지속되면서 결국 국립묘지 안장자의 애국심에 대한 의심으로 번졌고, 국립묘지는 자연스럽게 ‘정치다툼의 장’, ‘고리타분한 공동묘지’ 쯤으로 취급되며 젊은 층에게 외면받게 됐다는 것이다.

노명우(44) 아주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립묘지를 둘러싼 부정적 시각은 젊은 세대 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겪는 전반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노 교수는 “위로부터 강요되는 애국심이 문제”라며 “우리 국민에게 국가는 시민을 보호하는 존재라기보다 시민에게 의무만 부과하는 존재로 군림해왔다. 국립묘지에 대한 무관심은 젊은층 뿐 아니라 평범한 모든 사람의 생각이 반영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국립묘지가 올바른 역사적 잣대와 미래상을 제시하는 사회통합의 장으로서 제 역할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정치권이 국립묘지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지 않고, 사회적 통합과 화해의 상징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이 나오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며 “과거의 역사를 청산하고 미래 공동체를 위해 보수와 진보 모두의 상식에서 용인되는 사람을 안장해 그들을 통해 미래를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은총기자 yooec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