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범죄 부정적 인식깨야

25년전 수원 고등동에 살았던 김모(53·여)씨는 최근 우연히 이곳을 다시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젊은 직장인들이 모여 살던 작은 동네가 어느새 ‘중국인 거리’가 돼 있었기 때문. 한 슈퍼마켓 주인은 “10년전부터 중국 음식점이 하나둘 생기더니 3~4년 전쯤에 비슷한 가게가 곳곳에 들어서 딴 동네가 됐다”고 말했다.

수원 고등동의 변화상은 중국 동포들의 한국 진출 역사와 맞물려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산업연수생 자격 등으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중국 동포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쉬운 서울 구로와 영등포, 안산·시흥 등 공단 주변에 모여 들었고, 2007년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방문취업제 실시 후 집값이 좀 더 싸고 서울로 가기 편한 수원역 주변 등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거리도 모습이 바뀌어, 양꼬치·우육탕 등 중국인에게 친숙한 음식을 파는 식당들이 자리를 잡았다. 중국 노래방과 술집 등은 물론 환전소와 식료품점 등 생활에 필요한 가게들도 쉽게 눈에 띈다.

‘코리안드림’은 불법체류와 외국인 범죄라는 어긋난 형태로 나타나,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중국인 중 7.8%가 불법체류자다. 여기에 오원춘·박춘풍 사건이 이슈가 되면서 중국인 거리엔 한국인들의 제노포비아가 집중되기도 했다.

중국인 거리가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지자체와 주민들이 스스로 상생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성수동 공단에서 일하는 중국 동포들의 거주지였던 서울 자양동은 2011년 동일로 18길이 ‘양꼬치 거리’로 지정되며 변화의 물꼬를 텄다.

/글 =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