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운에스엠(주) 엔지니어로 당당히 취직
“늦깎이 성취 도와준 학교는 희망의 문”
‘인생 100세 시대’를 맞아 늦깎이 엔지니어로 인생 2막을 새롭게 개척한 의지의 한국인이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군인으로 장기복무하고 전역 후 뒤늦게 대한민국 대표 직업훈련대학인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 스마트 전기과를 졸업한 양계환(56·사진)씨.
양씨는 공군 부사관으로 25년간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 후 남은 인생에 대한 설계를 시작했다.
“과연 어떤 일을 해야 할까?” 막연한 질문 속에 스스로 고민했던 양씨는 당당히 전기분야 엔지니어라는 목표를 정하고 지난해 이 대학 미래신성장 동력학과로 지정된 스마트 전기과에 입학했다.
스마트전기과는 전기설비 기업체의 수요에 따른 맞춤식 교육을 통하여, 전력IT기술 지향형 자동제어, 전기설비 분야 및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의 신성장 동력분야 중간기술수준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양씨는 “적지 않은 나이로 새로운 학문과 기능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다”면서 “젊은 학생들에게 뒤처지지 않기 위하여 다른 학생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훈련을 해야 했으며 좌절하지 않고 학업에 매진했다”고 그간의 고충을 털어놨다.
이 같은 노력으로 교육내내 머릿속에 맴돌던 ‘56세의 나이로 과연 내가 해낼 수 있을 것인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걱정이 해결됐다. 지난 2월 수료 후 서운에스엠(주)에 취업하여 전기시설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리·유지보수 등을 담당하며 당당한 엔지니어로서 길을 걸을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 민간기업의 정년퇴직 나이(통상 55~57세 전후)에 새롭게 엔지니어의 길을 걷게 된 양씨는 ‘평생기술로 평생직업’이란 슬로건을 세우고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적용한 직업훈련교육의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학장·조한유)의 성공사례이다.
양씨는 ‘화성캠퍼스에서 배운 평생기술로 인생 2막을 개척해 두려움을 떨쳐내고 보유기술로 스스로 미래를 밝힐 수 있게 됐다”며 “제게 새 인생을 찾게 해 준 한국폴리텍대 화성캠퍼스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희망의 문’”이라고 말했다.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