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0년대 한일협정 준비 과정 폐지
아픈 역사도 기억해야할 의미 지녀
경기도의회는 조기 게양 조례 제정
'달력에서 실종된 경술국치일, 다시 기념일로?'
일제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 치욕'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고 이날 일제가 대한제국에게 '통치권을 일본에 양여함'을 규정한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했다. 반면 일제는 자신들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한일합방', '한일합병'이란 ...
고건
2024-08-14
-
... 한반도 내륙과 인근 해역, 중국 만주·요동 일대에서 1년 넘게 이어졌다.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반도 제해권을 장악했다. 같은 해 11월17일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당한 을사늑약, 5년 뒤 한일 강제병합으로 이어진다. 대표적 열강이던 러시아 제국은 러일전쟁의 패배 여파와 뒤이은 사회주의 혁명으로 몰락의 길을 걸었다.
인천 앞바다에서 침몰한 러시아 바랴크호 '깃발'(가로 2.5m, ...
박경호
2024-02-08
-
진실화해위, 김동수·김남수 등 조사
1907년 반일집회·의병 합세 등 추정
1910년 강제합병 前 '정미의병' 시발
구전불구 살해장소·묘지 등 못찾아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으로 ... 선원면)에서 살해했다고 전해진다. 강화 의병 일부는 내륙으로 들어가 장기간 저항했으며,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직전까지 이어진 '정미의병'의 시발점으로 꼽힌다.
김동수·김남수 형제의 행적은 강화지역에서 ...
박경호
2023-09-19
-
... 시대다. 한반도에서 하와이는 물론 미국 본토와 중남미 등지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일본과 만주로 이주한 한국인은 400만명에 달했다. 강제징용도 포함한다. 동북아시아 전체로 보면 1천만명이 국경을 넘어 살았다는 자료도 있다. 한일 강제병합 직후 강화도에서는 강화학파 유학자 이건승(1858~1924)이 서간도로 망명하고, 간도에서는 여성작가 강경애(1906~1944)가 ...
박경호
2022-11-14
-
... 산악전
'금품 조력' 재력가 새끼줄로 묶어
강탈로 속여 처벌 피하게 만들어
김용기·지홍윤, 7척 선단으로 투쟁
日 쾌속정 동원 “한말 의병사 유일”
주민 깊은 인상 '만세운동 밑거름'
고종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이 있던 1907년부터 한일 강제병합까지 전국에서 대규모 의병운동(정미의병)이 일어나 일본에 저항했다. 특히 인천 강화도에서 게릴라전 양상을 띤 의병 항쟁이 전국에서도 가장 ...
박경호
2022-02-08
-
... 강제로 퇴위시키고, 약 9천명의 병력을 지닌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고, 1910년 8월22일 한일병합조약 강제 체결로 대한제국은 멸망하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 민족은 들불처럼 일어나 식민지 ... 달했던 193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제정하였으며 1905년 이래로 을사늑약, 군대해산, 강제병합의 연이은 민족적 치욕에 분노하고 항의하며 자결한 민영환, 박승환, 황현 등의 순국지사, ...
이순희
2020-12-04
-
... 조광원(1897~1972) 신부는 미 해병대 종군신부로 태평양전쟁에 참전해 사이판전투에서 강제징집돼 포로가 돼버린 동포들을 구출해냈다.
장봉도 태생 의열단원 이을규(1894~1972...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강화학파 유학자 이건승(1858~1924)은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직후 서간도로 망명해 해외 독립운동 근거지를 건설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생전의 ...
박경호
2019-12-26
-
... 다양한 만큼
역사적 구체 발화한지 70년 지나
올해 내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잇달았다. 내년은 한일강제병합 110주년, 6·25전쟁 70주년, 4·19혁명 60주년,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등 굵직한 현대사의 모뉴멘트들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 지 벌써 70년이 ...
유성호
2019-11-27
-
... 혹은 투사로 역사에 남은 군인들
일본은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1907년 여름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이 즉위하는 동시에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했다.
군대가 없어졌어도 명맥만 ... 남아있었다.
그렇게 저물어 가는 나라의 마지막 무관생도는 50명 남짓이었다.
대한제국 무관학교는 한일 강제병합을 앞두고 1909년 여름 폐교됐다. 그해 가을 무관학교 생도 가운데 44명이 순종의 ...
박경호
2019-10-08
-
... 19.5% 감소한 수치다. 8월과 9월, 불과 1개월 만에 10%p가량 감소 폭이 커졌다. 한일 관계가 회복되지 않는 한 일본 여행객 감소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우리를 ... 인물카드를 보면, 1941년도에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서대문감옥에 투옥된 인천의 의사가 있었다. 강제병합 30년이 지난 시기에 국내에서 공개적으로 독립만세를 외치고, 방문을 붙이고, 연설한 경우는 ...
경인일보
2019-10-08
-
... 두르고 '오늘이 경술국치일'임을 홍보한다. 또 직접 제작한 홍보 포스터와 교내 방송을 통해 '한일병합' '한일합방'으로 잘못 불리는 것을 지적하며 국권피탈의 의미를 담은 경술국치가 옳은 표현이라고 ... 소감을 전했다.
특히 올해 도내 각급 학교 대부분이 조기게양에 적극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강제성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행동이라 의미가 더 크다.
더불어 SNS를 통해 경술국치를 기억하자는 ...
공지영
2019-08-29
-
... 열리는 파리강화회의에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1877~1955)을 파송할 계획을 추진했다.
1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를 논의하는 회의에서 한일 강제병합의 부당함과 한국의 독립을 국제사회에 호소하기 위해서였다.
미국 오하이오에서 유학한 의친왕과 교류가 있는 김란사도 밀사로 파견될 예정이었다.
김란사의 파리강화회의 비밀 파송과 ...
박경호
2019-05-09
-
... 본적으로 돼 있으나, 이을규·정규 형제는 생전에 인천 장봉도 출신임을 분명히 밝혀왔다.
일제의 강제 병합이 있던 해인 1910년 이을규가 먼저 인천고에 입학했고 이듬해 동생 이정규가 입학했다. ... '대동단실기'를 집필한 건국대학교 정치학과 신복룡 명예교수는 “대동단은 조선 왕조 왕실이 (한일) 합병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친왕의 입을 통해 세계에 알릴 목적으로 망명을 추진했다”고 ...
김주엽
2019-05-02
-
... 조선인들이 연길에 설립한 학교에서 역사, 지리, 한문을 가르치면서 역사교과서에 왜적의 침입과 한일강제병합 굴욕을 서술해 학생들의 적개심을 불러왔다는 이유였다.
해외에서 이름을 떨친 계봉우 선생이 ... 의원으로 활동했다.
1920년에는 임시정부 간도 파견원으로 활동했고,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했다.
1959년 7월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에서 80세의 나이로 생애를 마칠 때까지 ...
김민재
20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