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쌀 소비 현주소
-
[경기 쌀 소비 현주소·(下)] 화성 수향미 '완판' 비결은 품질 디테일 지면기사
올해 쌀 시장은 그야말로 최악이었다. 쌀 소비는 줄어드는데 벼 농사는 풍년이라 쌀 수확량이 크게 늘었고, 이 때문에 햅쌀 수확기에도 지난해 쌀이 창고에 쌓여있을 정도였다.수요는 줄어드는데 공급이 넘쳐나니 가격은 속절없이 떨어졌다. 경기도를 비롯해 전국 모든 지역의 상황이 비슷했다. 대한민국 최고의 명품 쌀로 불리는 여주·이천지역 쌀마저 햅쌀 수확을 앞두고 10㎏ 기준 2만원대까지 판매가격이 내려갈 정도였다. 市 '향 극대화' 생산·유통 관리치밀상표관리·포장비 등 꾸준한 지원도 이런 와중에 화성 수향미는 거의 '완판'됐다. 2017년 첫 출시돼 이제 5년 정도가 된 수향미는 상대적으로 '신생' 브랜드 쌀이지만 최악으로 치달은 올해 쌀 시장에서도 선방했다. 지난 8월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실시한 '경기 쌀 인식 조사'에서도 쟁쟁한 쌀들 속에 브랜드 인지도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행정기관과 일선 현장이 긴밀하게 협업해 이뤄낸 성과였다. 쌀을 점점 먹지 않는 시대, 경기 쌀이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지고 있지만(10월17일자 1·3면 보도=[경기 쌀 소비 현주소·(上)] 줄어든 숟가락에 저가쌀 '밥 맛 잃은 소비자') 소비자들에게 지역 쌀의 우수성을 알리고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를 좇아 효과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끈질긴 노력이 수향미의 위상을 높이는데 한몫을 했다.수향미(秀香米)는 이름 그대로 향이 좋은 쌀이다. 밥을 지으면 구수한 누룽지 향이 나는 게 핵심이다. 그 특성 탓에 소비자들에게 제품력을 각인시키는데 유리했다. 여기엔 행정과 현장의 숨은 노력이 있다. 화성시는 지역농협과 민간 정미소, 농가 등과 '명품 쌀 발전 위원회'라는 별도 기구를 구성했다. 생산부터 관리, 유통까지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위원회에선 수확 후 볏짚을 땅에 썰어넣는 일부터, 가장 수향미 특유의 향이 극대화되는 수매 시기를 살피는 등 제품력을 높이기 위해 치밀하게 연구하고 있다. 화성시에서도 상표관리를 총괄하는 한편 포장 비용 등 필요한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
[경기 쌀 소비 현주소·(下)] 생산비 느는데 농정예산 비중 '최저'… '잇 아이템' 농가 살린다 지면기사
소비가 점점 줄고 있지만 쌀은 여전히 경기도 농업의 중심이다. 지난해 경기도의 쌀 생산량은 전국 시·도 중 5위였다. 생산량도 많지만, 품질은 단연 전국 최고로 꼽힌다. 그러나 경기도 일선 농가들은 지역을 막론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촌에 대한 행정의 관심도가 갈수록 줄어든다며 볼멘소리를 높인다. 쌀 시장이 역대급으로 어려운 상황 속, 어느 때보다 쌀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각종 방안이 절실하지만, 역부족이라는 목소리가 공통적으로 제기된다.줄어드는 농촌 인구, 줄어드는 행정 지원 경기도 농촌 인구는 28만명 가량이다. 전국 농민 10명 중 1명꼴이 경기도에서 논과 밭을 갈지만, 1천380만명에 달하는 경기도에선 전체 주민의 2%에 불과하다. 도내 다수의 지역이 도농복합지역이지만 도시화가 가속화하면서 농촌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러 면에서 줄어들고 있다. 이를테면 경기도의 일반회계 대비 농정 예산 비율은 2019년엔 3.71%, 2020년엔 3.59%, 지난해엔 3.98%였는데 올해는 3.5%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농민들의 생산비 부담도 어느 때보다 높아졌지만 오히려 농정 예산이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3년간 가장 낮은 셈이다. 이는 지난달 도의회 도정질문에서도 지적됐었다.작년 경기도 쌀 생산량 전국 시·도중 5위농민 10명 중 1명꼴로 경기도서 논과 밭올해 일반회계 대비 농정 예산 비율 3.5%고물가속 선택받기 쉽지 않아 '지원 요구' 경기 쌀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고물가 상황 속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기가 쉽지 않아, 일선 현장에선 소비 촉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각 지역 쌀을 사용하는 식당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마저도 기초단체에서 하나둘 사라지는 실정이다. 한 지역농협 관계자는 "경기 쌀은 전국 최고의 쌀로 꼽혔지만 이젠 다른 지역 쌀도 품질이 많이 좋아진데다 가격마저 저렴해 소비자들에게 경기 쌀이 선택받기가 점점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한번 먹어보면 경기 쌀을 계속 찾게 되는데 그 '한 번 먹기까지'의 과정이 쉽지가 않
-
[경기 쌀 소비 현주소·(上)] '고시히카리' '임금님표 이천쌀' 으뜸… "살땐 가격 가장 많이 봐" 지면기사
경기도의 쌀 품종 국산화 노력에도 기존의 추청이나 고시히카리의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님표 이천쌀'이 브랜드 인지도 면에선 가장 높았던 가운데 비교적 브랜드 역사가 짧은 '수향미' 역시 인지도가 못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들은 경기 쌀의 강점이 밥맛에 있다면서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면서도, 쌀을 구매할 때는 가격을 가장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품종은 '고시히카리', 브랜드는 '임금님표이천쌀'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 8월 '제1회 경기 푸드박람회' 방문객 600명을 대상으로 경기 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벼 품종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고시히카리(21.1%)를 가장 많이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 뒤를 추청(17.4%)과 참드림(13.8%)이 이었다.추청과 고시히카리는 현재까지도 경기 쌀의 주 품종이지만 일본 품종이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이에 대응해 참드림을 개발, 2016년 일반 재배에 돌입했다. 식재 면적이 점점 늘어나 지금은 고시히카리보다도 넓다. 道농업기술원, 벼 인지도 조사 결과품종, 21.1% 추청 17.4% 일본산 주축재배 5년 참드림 13.8% 빠른 상승세브랜드, 수향미·대왕님표 등 20%대 해당 조사에 따르면 아직은 추청과 고시히카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만 두 품종이 길게는 60년 동안 경기 쌀의 주축을 이뤄왔던 점을 감안했을 때, 일반 재배가 본격화된지 5년여가 된 참드림의 인지도가 빠르고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그외 품종에 대해선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향미의 품종인 골든퀸3호는 9%, 대왕님표여주쌀을 구성하는 진상벼는 5.7%, 임금님표이천쌀의 주요 품종인 알찬미의 인지도는 3.3%에 그쳤다. 경기 동북부지역 벼의 주 품종인 대안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1.9%였다.벼 품종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 않았지만, 임금님표이천쌀·수향미·대왕님표여주쌀의 브랜드 인지도는 상위권을 차지했다. 3개 지역 쌀의 인지도는 모두 20%대로, 한자릿수를 기록한 다른 지역 브랜드 쌀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임금님
-
[경기 쌀 소비 현주소·(上)] 줄어든 숟가락에 저가쌀 '밥 맛 잃은 소비자' 지면기사
임금에게 진상됐던 경기 쌀은 전국 최고의 명품 쌀로 불린다. 경기도 농업의 중심이 쌀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기도 전반이 도시화가 된 와중에도 여전히 도내 시·군 상당수에서 벼농사가 이뤄지고, 지역마다 저마다의 특성을 담은 고품질 쌀을 수확해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쌀 소비가 차츰 줄어들면서 그만큼 일반 소비자들이 경기 쌀의 우수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도 줄어드는 실정이다. 경기 쌀이 더 많은 도민들에게 사랑받으려면 행정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16일이 '세계 식량의 날'이었던 가운데 위기에 처한 우리의 주식 쌀 소비 상황과 경기 쌀의 현주소를 조명한다. → 편집자 주·관련기사 3면([경기 쌀 소비 현주소·(上)] '고시히카리' '임금님표 이천쌀' 으뜸… "살땐 가격 가장 많이 봐") 화성시에서 혼자 사는 직장인 김모(31)씨의 하루 식단을 보자. 출근하느라 바쁜 아침시간엔 식사를 거른다. 회사에 출근해 커피와 함께 빵이나 과자 등으로 허기를 달랜다. 점심은 구내식당에서 먹거나 외부 음식점에서 해결한다. 오늘은 동료 직원과 함께 외부 음식점으로 향했다. 메뉴는 돈가스다. 하루 일과를 마치고 귀가한 후 저녁식사는 배달음식으로 해결한다. 치킨을 시켜본다. 김씨가 이날 쌀을 먹은 것은 돈가스에 함께 나온 밥 한 숟가락을 먹은 게 전부다. 그 밥을 어디 쌀로 지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김씨의 집엔 즉석밥은 있지만 쌀은 없다. 즉석밥을 어디 쌀로 만들었는지도 알지 못한다.현대인들 다수의 식생활이 김씨의 모습과 대동소이할 것이다. 1·2인 가구의 증가와 맞물려 많은 끼니를 외식이나 간편식으로 해결하는 점이 영향을 미친다.이는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9㎏이었다. 30년 전인 1991년에는 116.3㎏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반토막이 난 것이다. 반면 육류 소비량은 증가 추세다.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료를 보면 1995년 소·돼지·닭고기 소비량은 1인당 27.45㎏이었지만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