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

  • 대화포비아, 중도 모르는 중도… 그럼에도 직면할 이유 [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2·끝)]

    대화포비아, 중도 모르는 중도… 그럼에도 직면할 이유 [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2·끝)]

    이럴바엔, 차라리 입을 다물겠다. “왜 토론하지 않을까?" “왜 무당층이 됐지?" 라는 질문에 지난 1편에서 우리가 만난 20대 청년들은 '침묵을 전략적으로 선택했다' 결론내렸다. 전략적 침묵을 선택한 이유는 꽤 납득할 만했다. 온라인이 더 편한 20대에게도 작금의 온라인 공론장은 불편하다. 불편한 배경엔 문제를 대하는 태도가 극단적으로 나뉜 소수의 부류가 공론장을 지배하면서 이들의 짠 프레임에 의해서만 이야기가 오고간다는 것이다. 논리적 타당성을 따지거나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지지 않고 정해진 프레임 안에서만 모든 이야기가 오가니 '대화를 하는 게 피곤하다'는 게 중론이었다. 여기에 절대 건드리지 말아야 할 '성역'이 생겨버린 현상도 심각하다고 했다. 젠더, 진영, 계층 등 사회구성원을 분류하는 모든 지점에서 '절대 지켜야 하는' 선이 그어지고, 다원화된 사회에 이분법식 접근만 강화되면서 차라리 입 다물고 사는 게 속 편한 세상이 된 셈이다. 이들이 바라보는 더 큰 문제는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 온라인 현상이 오프라인의 공포로 전염되며 일종의 '대화포비아'를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비슷한 성향의 사람끼리만, 상대의 생각을 잘 아는 이들끼리만 정치사회 문제를 이야기하거나, 아예 대화조차 하지 않는 경향이 짙어졌다. 그리고 이런 현상과 '20대 무당(無黨)'층이 늘어나는데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다고도 말했다. 취재팀은 당사자 격인 20대의 '자가진단'을 듣고 이 현상을 둘러싼 '공론장'을 더 확대해보기로 했다. 그래서 '토론주의자' 이준석 개혁신당 국회의원에게 20대 무당층을 물었다. 또 '프로보커터' '급진의 20대' 등 20대와 정치를 연구하는 김내훈 작가를 만나 현상을 어떻게 진단하는지 물어보았다. 아래는 이들의 인터뷰를 주요 주제 중심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 나무위키에 기대 설명 넘기고 급발진… 20대도 문제 있다 대학생들 토론하는 모습 보면 나무위키의 장점란과 단점란이 싸우는 듯. 1차 소스 모르는 '밀키트 토론' 난무.

  • [영상+] 말을 잃은 자, 말이 없는자, 우리는 무당입니다 [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1)]

    [영상+] 말을 잃은 자, 말이 없는자, 우리는 무당입니다 [20대 무당(無黨)을 찾아서·(1)]

    '20대를 무당(無黨)이 지배했다.' 이름은 하나인데 별명이 서너개인 내동생처럼, '중도'라고 불리고 '부동'층이라고도 일컫는 대한민국 20대. 선거철만 되면 캐스팅보트로 막강한 힘이라도 쥐어준 듯 띄우다가 철 지나면 쪼그라든 풍선마냥 사라지는 우리 사회 20대. 여론조사에서 이토록 꾸준히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절반의 무당(無黨)'이 존재하는, 이상한 세대. 이러한 이상현상을 두고, 20대는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자평하기도 하고, 또 한편으론 '정치 혐오'라고도 자조하기도 한다. 20대를 바라보는, 인생을 조금 더 살았다는 어른들은 현상을 무관심으로 뭉뚱그려 손가락질하거나, 놀고먹는 쾌락만 좇는 '정치 무지렁이'로 격하하기도 했다. 취재는 아주 근본적인 호기심, “대체 왜?"에서 비롯됐다. 무당(無黨)이 된 20대를 찾아 나섰다. 그리고 20대 무당을 마주한 우리는 머릿속이 복잡해졌다. '그럴 수도 있지'로 쿨하게 넘어갈 현상이 결코 아니었다. 혹은 반대로 20대를 손가락질하거나, 기성 정치권을 손쉽게 탓하는 일차원적인 분석은 오히려 현실을 오독하는 것이라 결론내렸다. 복잡한 이 이야기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고민이 깊었다. 결론은 쉽게 말해보자.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로 했다. 1편은 '무당이 된 그들만의 사연'을 20대 청년들이 직접 진단했다. 2편은 20대 유권자를 상대로 '표 장사'를 해야 하는 정치인과 20대 무당을 연구하는 전문가를 만나 그들만의 진단을 들어봤다. 솔직히 말해서, 정답은 없다. 세상에 정답있는 질문이 얼마나 되겠는가. 대신 정도(正道)를 함께 찾아볼 뿐이다. 20대 무당(無黨)이 바라는, 우리 정치사회의 건강한 정도를. →편집자주 취재팀은 지난달, 2차례에 걸쳐 아주대학교 학보사 학생 3명을 대면 인터뷰했고, 국민의힘 경기도당 청년 당직자 7명과 함께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긴시간 토론을 했다. 아래는 이 곳들에서 나온 내용 중 주요 맥락들을 중심으로 '단톡방'을 재구성했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의 3인을 정해 대화를 요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