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

  • [데스크 칼럼]경기만 갯벌을 살리는 대안… 경기도 정책

    [데스크 칼럼]경기만 갯벌을 살리는 대안… 경기도 정책 지면기사

    시화호·화옹지구 대단위 간척·매립사업탓갯벌 망가지며 그 많던 어패류가 사라졌다경기도·일선지자체 예산 지원에도 역부족답은 물길살리기… 道 종합적인 대책 희망 경기만 갯벌이 망가졌다. 소금 한 줌이면 젓가락처럼 긴 맛조개를 한 솥 잡아 석쇠에 구워 먹었던 시절이 있었다. 20년 전쯤의 이야기다. 그러나 최근 갯벌에서 낙지 등 어패류를 잡아 아들, 딸 대학 보낸다는 그런 희망은 사라졌다.물길이 바뀌면서 나타난 문제다. 그 중심에 시화호가 있었다. 1994년 완공된 시화방조제. 1977년에 반월 신도시 건설 사업으로 탄생된 시화방조제(12.67㎞)는 1985년 시화지구 매립 추진 계획과 당시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과 화성군 대부면을 연결해 1억8천t의 담수호를 만드는 계획에 의거, 건립됐다.시화방조제 준공 당시 시흥시·안산시·화성시 일대의 농업 용지 확보, 공업 용지 확보, 담수 자원 확보에 커다란 성과를 이룰 토목 사업이라고 찬사를 받았다. 하지만 2000년대 시화호 오염이 또 다른 사회적 문제가 됐다.1997년 3월 시화방조제의 배수 갑문을 개방해 해수까지 끌어들이는 대책이 나왔고 1998년 11월 시화호의 담수화 계획이 완전 백지화됐다. 2011년 시흥시와 안산시의 행정 경계 부근에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건립, 발전을 개시했다.이후 현재 시화호엔 바닷물이 유입, 옛모습을 되찾았다.간척사업의 폐해를 고스란히 보여준 사례가 됐다. 물길 변화로 갯벌이 죽어가기 시작한 것이다.또 다른 사례론 경기만 일원의 매립사업이다. 지난 1991년 화옹지구인 화성시 서신·우정·장안·남양·마도 일원 6천212㏊를 메웠고 1998년부터는 시화지구로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화성시 송산·서신면 4천396㏊에서 간척사업이 진행됐다.이후 1980~90년대 서해 갯벌에서 잡히던 망둑어류 1천763t, 낙지 263t은 현재 각각 65t, 90t으로 급감했다.수산자원 전문가들도 어종이 풍부하던 과거 모습이 사라진 이유로는 지난 1991년부터 서해안 일대에서 이뤄진 간척·매립사업을 대표적으로 꼽았다. '경기만'을 살리기 위해 경기도 등 지자체

  •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5)효과 미미한 종패사업]20년 넘게 진행된 종패 방류… "해감 잘 안돼" 어민도 손사래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5)효과 미미한 종패사업]20년 넘게 진행된 종패 방류… "해감 잘 안돼" 어민도 손사래 지면기사

    환경전문가 "어촌 맞춤형 지원을"갯벌 생태계를 보호하고, 어민 소득을 증대한다는 취지로 경기도 등 지자체가 20년 넘게 종(치)패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효과가 미미해 반대하는 어민도 있다.바지락 종패가 제대로 된 상품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어민들은 지역별 생태에 맞는 사업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해야 망가진 갯벌을 살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21일 화성시 한 포구에서 만난 어민 A(60)씨는 "종패사업에 반대한다"며 "손님들이 바지락 칼국수와 같은 바지락 요리를 먹을 때 항상 하는 불만이 '으적거린다'는 것"이라며 "바지락 종패는 성장해서 채취해도 해감이 제대로 안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경기도 내 종패 방류 사업은 경기만 갯벌이 망가진 이후인 1995년 무렵부터 시작됐다. 대규모 간척사업과 기후변화 등으로 갯벌이 망가져 과거의 풍부한 수산자원이 나오지 않으면서 어민들의 소득도 급감했기 때문이다. 이에 소득 증대와 생태계 유지를 위해 해당 사업이 계속됐다.실제 종패 방류 사업은 어민 소득 증대에 효과가 있다. 망가진 갯벌 생태계에 한 푼이 아쉬운 어민들 입장에서도 10%만 부담하면 배 이상 수익이 나는 정부의 지원사업은 반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투자한 값에 비해 성과는 적다는 게 현장 어민들의 증언이다. 화성지역 한 어촌계 어민 B(64)씨는 "정부에서 10억원 가량 종패를 방류하면 적어도 12억 정도 효과가 나와야 성공적인데, 5억원 정도 결과만 나와도 다행인 실정"이라며 "폐사도 많은 걸 보고 있지만, 그나마도 아쉬워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게다가 경기만 갯벌 현장에 맞지 않는 중국산 종패를 방류한다는 소문도 어민들 사이에 돈다. 국산 종패들은 그나마 자연에 적응해 살아남는데, 중국산은 폐사율이 높다는 것이다.실제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종패도 상당하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2017~2019년)간 중국에서 수입된 종패류는 521건, 1천555t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국산 바지락 종패는 399건, 1천437t에 달한

  •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4)철저한 관리 필요한 지원금]'헛다리만 짚은' 어촌살리기 예산 지원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4)철저한 관리 필요한 지원금]'헛다리만 짚은' 어촌살리기 예산 지원 지면기사

    오이도 '갯벌 바이크사업'등 실패발전기금, 계장 주머니 들어가기도어촌과 갯벌을 살리기 위해 각 기관들에서 예산 지원을 하고 있지만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20일 시흥시와 오이도 어촌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오이도 앞 갯벌 일대에서 추진하려 했던 '갯벌 바이크사업'이 시행한 지 3개월 만에 중단됐지만 여전히 바이크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갯벌 바이크 사업은 지난 2012년 9월 시화조력발전소와 관련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지원금'으로 3억여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추진됐다.시와 오이도 어촌계는 일반 관광객들을 유치할 목적으로 갯벌 바이크사업을 구상, 1억7천200만원의 예산을 활용해 1대당 400만원 씩 총 43대를 구입했고 관련 시설 설치에도 나머지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사업이 시행된 지 3개월 동안 이용자가 100여명에 불과했고 갯벌이 망가질 수 있다는 어민들의 우려에 사업은 중단됐다.오이도 어촌계 관계자는 "오이도가 올해 지방 어항으로 지정된 만큼 바이크를 활용할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며 "조만간 시와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동안 도내 어촌계는 각종 비리 사건에도 연루됐었다. 지난해 평택해양경찰서는 지난 2012년 자율 관리어업육성사업으로 어촌계에 지원된 보조금 4천900여만원으로 구매한 어업용 기계 3대를 중고업자에 팔고 어촌계원들이 판매에 동의한 것처럼 속여 2천500만원을 챙긴 혐의로 어촌계장 A(52)씨를 사기 등의 혐의로 구속 송치했다. 지난 2015년 화성서부경찰서는 항로확장준설 환원모래기금과 발전기금 6억9천만원을 관리하면서 13차례에 걸쳐 1억8천400만원을 빼돌린 혐의(업무상 횡령 및 사기)로 어촌계장 B(47)씨와 계원 C(42)씨를 입건하기도 했다.어민들은 "본래 목적에 맞지 않게 예산이 쓰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며 "지역 상황에 맞는 예산 지원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원근·김동필기자 lwg33@kyeongin.com

  •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3)이유있는 어종·패 감소]간척으로 물길 막히자 '갯벌이 죽었다'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3)이유있는 어종·패 감소]간척으로 물길 막히자 '갯벌이 죽었다' 지면기사

    조개류, 모래·갯벌 섞여야 잘 성장"시화방조제가 어장 생태계를 파괴" 치어·패 방류는 즉흥적 정책 불과"매립·간척 중단… 막힌 물길 터야" "물이 돌아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종패 사업은 효과가 없어…."안산 선감도 어민 김모(62)씨는 "20년간 하고 싶었던 얘기를 이제야 한다"며 말을 이었다. 그는 "시화방조제가 어장 생태계를 다 파괴했다"며 "조개류는 모래 성분과 갯벌 성분이 골고루 섞여야 잘 성장하는데, 간척사업으로 갯벌 성분만 남았다"고 강조했다.평택 쪽도 사정은 마찬가지. 평택 어민 박모(58)씨는 "서해대교가 들어서면서 내해도 모두 항만으로 지정하고, (서해대교 통하는)길을 내면서 갯벌 60~70%가 사라졌다"며 "무엇보다 우선돼야 하는 게 갯벌 생태계 복원"이라고 호소했다.19일 경인일보가 만난 어민과 환경단체 종사자는 "갯벌이 망가진 건 물길이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간척사업을 진행하며 물길이 막혀 갯벌이 죽었다는 것이다.간척 사업 이후 서해안 어민에게 갯벌 썩은 냄새는 익숙하다. 방조제로 인해 물길이 바뀌면서 모래는 감소하고, 실트·점토와 같은 펄이 증가하게 되는데, 염생식물이 서식을 못해 결국 갯벌이 퇴화하는 것이다. 일부 지역엔 오염된 유기물질이 과도하게 유입하면서 퇴적돼 썩기도 한다.치어·패 방류사업 효과가 미미하다는 건 방류사업 역사가 말해준다.경기도 내 지자체 등은 지난 1995년부터 갯벌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취지로 해당 사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20년이 넘게 같은 사업만 반복될 뿐이다.그럼에도 반복하는 건 어민들에게 당장 생계비를 보장해주기 위해서다. 망가진 생태계에서 어민들이 수익을 내게 하려면 외부에서 공수하는 방법이 가장 빠른 까닭이다. 환경단체나 어민들은 즉흥적 정책이 아닌 근본적이면서 장기적인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박혜정 화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치어·패 방류 사업은 단기적으로 어민들을 돕기 위한 사업에 불과하다"며 "100개 뿌리면 1개 살까 말까한데 갯벌을 살리는 사업이겠느냐"고 했다.

  •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2)빛바랜 정책]지자체 갯벌살리기 '밑빠진 독 물붓기'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2)빛바랜 정책]지자체 갯벌살리기 '밑빠진 독 물붓기' 지면기사

    '바지락 황금어장'이었던 선감도등갯벌 망가져 가구당 年40만원 수익매년 수십억 들여 치어·종패 방류"뿌려도 걷어들일 수 없어…" 한숨2000년대 초만 해도 안산 선감도는 전국 최대 바지락 황금어장으로 꼽힌 곳이다. 그 옛날 이곳 어민들은 맨손으로 바지락을 캐 하루에 많게는 100만원의 수입을 올렸다.그랬던 이곳엔 현재 83가구가 남아 갯벌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근근이 갯벌을 지키고 있다.그러나 갯벌 체험프로그램도 2003~2004년도 당시 연간 2만여명이 찾던 체험객 수가 최근엔 10분의 1로 줄었고, 가구당 연간 40만원 정도의 수익을 얻을 뿐이다. 지난해 2억원 정도를 해양수산부로부터 지원받아 바지락 종패를 갯벌에 뿌려놨지만 얼마나 걷어들일지는 알 수 없다.황금어장이 망가졌기 때문이다. 18일 만난 선감도 어촌계 관계자는 "포기할 수 없어 그냥 (갯벌을)지키고 있다"고 했다.시흥 오이도 갯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어촌계에서 종패를 뿌리고 체험객이 낸 체험비를 다시 종패를 뿌리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나마 최근 들어 어민들이 맨손으로 바지락이나 동죽을 캐 수협에 수매하는 '맨손잡이' 어민들이 다시 생겨나고 있지만 과거 왕성했던 당시 수익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어민들의 목소리다.경기도를 비롯해 '경기만' 일원의 지자체 등이 갯벌을 살리고자 매년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을 투입해, 치어·종패류 방류사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어민들은 "밑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지적한다.도는 매년 '경기도 수산자원관리시행계획'을 수립해 시행 중이다. 최근 5년 간 121억원을 들여 넙치 등 치어 8종 1억4천607만미를 방류했다. 종패류 또한 지난해 12억4천만원을 들여 새꼬막 등 3종 종패류 335t을, 올해도 12억5천만원을 들여 303t을 살포한다.화성시도 2018년부터 매년 9억8천만원을 들여 점농어, 넙치, 조피볼락(우럭) 등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2018년에는 1천500만미를, 지난해엔 2천545만미를 방류했다. 종패류도 2018년 10억원, 2019년 9억4천400만원, 2020

  •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1)프롤로그]사람도 생물도 모두 살기 어려워진 갯벌

    [옛 모습 잃어가는 경기만 갯벌·(1)프롤로그]사람도 생물도 모두 살기 어려워진 갯벌 지면기사

    제부도 숙박업소·해수욕장 썰렁"갯가 망가져 관광객도 찾지않아"간척·매립사업 이후 어획량 급감1763t 잡히던 망둑어류 65t 그쳐서해안 갯벌에서 소금 한 줌이면 젓가락처럼 긴 맛조개를 한 솥 잡아 석쇠에 구워 먹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20년 전쯤의 이야기입니다. 서해안 갯벌 인근에서 자란 40대 이상 경기도민이면 한번쯤 경험해보았거나 전해 들었을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최근 갯벌에서 낙지 등 어패류를 잡아 아들, 딸 대학 보낸다는 그런 희망은 사라졌습니다.경인일보는 앞선 2000년대 초 서해안 갯벌을 무대로 한 '경기만 기획'을 통해 부흥했던 갯벌의 이야기를 전해 드린 바 있습니다. 20년이 지난 2020년 경인일보가 다시 서해안 갯벌 이야기를 하려합니다. → 편집자 주"다 죽었어. 하루 200마리 넘게 잡히던 낙지도 이제 찾아보기 어려워…."서해안 갯벌의 대표 관광지인 제부도와 대부도(갯벌) 등이 명성을 잃어가고 있다. 섬으로 들어가는 데만 2~3시간 걸려 북적거리던 풍경은 이제 옛말이 됐다. 지난 주말(16일)에 찾은 화성시 서신면 제부도. 해수욕장으로 가는 길 곳곳에는 녹이 슨 건물이 부서진 채 방치돼 있었다. 공사 또는 철거하다 멈춘 앙상한 철골도 길가 곳곳에 보였다. 펜션이나 모텔 등 숙박업소도 찾는 이들이 크게 줄었다. 해수욕장도 사정은 마찬가지. 텅 빈 테라스가 안타까운 횟집 상인들은 지나가는 차량마다 목이 터져라 '호객 행위'에 나서보지만, 횟집을 찾는 이들은 없었다. 모래사장엔 조개껍데기만 널브러져 있다.갯벌 인근에서 횟집을 하는 상인들도 한목소리로 '갯벌이 망가졌다'고 입을 모은다. 제부도 상인 Y(65)씨는 "(서해안)갯벌이 다 죽었다"며 "망둥어나 낙지는 커녕, 바지락도 찾아 보기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갯벌에서 사람들이 놀다 나와서 밥도 먹고 해야 하는데 갯벌이 망가지니까 사람들도 찾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통계청의 '어업생산동향조사'에 따르면 1980~90년대 서해 갯벌에서는 망둑어류 1천763t, 낙지 263t이 잡혔다. 하지만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