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대문호 헤르만 헤세는 ‘인간이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화시켜야만 하는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라며 변해야 하는 것 중에 인간의 이기심을 꼽았다. 지금 우리 사회를 들여다보면 이기심으로 빚어진 폐해가 갈수록 심각해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이를 두고 ‘세상이 각박해지고 있다’며 탄식하기도 한다.

얼마 전 터키 해변에 떠내려온 시리아 세살배기 아이의 주검은 세상을 충격에 빠트렸다. 내전을 피해 탈출한 난민을 유럽의 많은 나라가 고개를 돌렸고 한술 더 떠 이들의 길을 가로막은 나라도 있었다.

멀리 볼 것도 없이 우리 주변을 보더라도 이기심의 폐해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대한민국 최악의 참사로 남을 ‘세월호 사건’을 비롯해 매년 되풀이되는 노사갈등하며, 요즘 새삼 주목받는 ‘불효자식 방지법’ 등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널려있다.

‘나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심이 이웃의 위험을 모른 체하고 남의 불행에 쾌재를 부르기도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을 낳고 있다. 어느 시대, 어디서건 이기심은 존재했지만, 오늘날 위험스러운 것은 이기심이 미화되고 이타적인 행동이 ‘바보스럽다’며 놀림의 대상이 되는 묘한 풍조가 불고 있다는 것이다. 언제부터 인가 남에게 양보하는 것이 손해로 비치고, 남을 돕는 것이 주제넘은 일로 여겨지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주택가에서 주차 때문에 언쟁을 벌이는 일은 이제 흔한 일상이 됐고 건널목에 아직 보행자가 있어도 신호가 바뀌자마자 경적을 울리거나 그 앞을 쌩하니 달리는 차들이 당연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으로 볼 때 며칠 전 광주광역시 도심 한복판에서 목격된 장면은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 일일 수 있다. 한 청년이 어디선가 달려와 건널목에서 지팡이를 짚고 한발 한발 힘겹게 걸음을 떼는 할머니를 부축했다. 이 청년은 할머니가 건널목을 다 건널 때까지 느린 걸음에 맞춰 함께 걸었고 기다려준 차량에 고개 숙여 인사까지 하고는 다시 가던 길로 바쁘게 사라졌다. 이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인터넷에 공개되자 감동받은 많은 사람의 댓글이 오르며 할머니를 도운 청년은 ‘선행남’으로 화제가 됐다. 급기야 이 선행남을 찾아 표창하겠다는 경찰의 공지문까지 등장했다.

사랑과 관용이 결여돼 가는 요즘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일화가 아닐 수 없다.

/최재훈 지역사회부(포천)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