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강도들은 왜 농협만 노릴까.

지난해 포천 영북농협 강도 사건을 비롯 최근 발생하는 금융기관 강탈사건 모두가 농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범인들이 노리는 농협은 상당수 점포들이 다른 금융기관에 비해 농촌지역 등 비교적 한적한 곳에 위치해 있어 근본적으로 범죄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있지만 자체적인 보안상태가 부실한 것도 원인중 하나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단순 강도가 아닌 K-1 소총과 권총 등으로 무장한 범인들이 취약 시간대와 도주로 등 치밀한 계획에 따라 범행을 저지르고 있지만 농촌지역의 소규모 점포의 대응 능력은 초보 수준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범인들은 실패(?)할 가능성이 가장 적은 농협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도내 농협은 중앙회와 회원조합에 소속된 출장소와 지점 등 770여개소로 시중은행보다 무려 7배가 넘는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경찰의 방범 취약지역인 읍·면단위에 위치, 범죄가 발생해도 경찰은 항상 범인이 도주한 이후에 현장에 도착하는 등 사실상 범죄 사각지대화 되고 있다.

이처럼 농촌지역에 위치한 소규모 점포가 범행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농협측은 사실상 범죄 무방비 상태다.

농협은 도내 770여개소 점포 중 중앙회가 운영하는 155개소와 지역농협 152개 본소에는 청원경찰을 배치하고 있지만 회원조합이 운영하는 400여개 지점 및 분소에는 청원경찰조차 배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일부 점포는 민간 경비업체에 의존하고 있지만 인력 및 기동력이 취약해 사건발생 이후 항상 뒷북을 치는 등 실질적으로 범죄 대응능력에서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농협은 강도사건이 발생할 때 마다 방범대책을 마련해 발표하는 등 수선을 떨고 있지만 항상 미봉책에 불과하다.

지난해 10월 포천 영북농협 총기강도 발생 당시에도 농협은 청원경찰 배치 등 기본적인 방범대책을 마련했지만 예산문제를 이유로 실행이 안되고 있다.

이번에도 농협은 청원경찰 배치 및 가스분사기 설치, 정문앞 주차장 등에 CCTV설치, 직원에게 가스총 지급, 취약시간대에 경찰 특별순찰 의뢰, 사고예방 대처 훈련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농협측은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한 미봉책이 아닌 연차적으로 근본적인 보안대책을 마련해 실행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