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은 최근 작금의 역사교과서 검정체제가 대한민국을 증오와 부정의 역사, 실패한 대한민국으로 만들었다며 올바른 역사교과서 만들기를 통해 역사 바로세우기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그런가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 여당의 교과서 국정화 추진에 대해 “내년 총선 승리에 눈이 멀어 박물관에나 있을 법한 색깔론을 들고 나온 격”이라고 몰아 세우고 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싼 갈등은 여야의 정쟁을 넘어 학계와 종교계,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그 논란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는 양상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런 이전투구식 피상적인 논란이 역사교육의 본질을 흐리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찌 이렇게 반대와 찬성의 논리가 말 그대로 옛날의 국정교과서처럼 천편일률적인가. 각자의 주장에 맹목적인 찬성과 반대만 있을 뿐 ‘상대를 인정하다’ 란 말 자체가 끼어들 틈이 없다. 진영의 논리에만 매몰 된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볼 일이다. 국정화에 반대하는 이들은 진정, 편향적 역사교육 현장의 심각성에 대해 눈 감아도 되는 것인가. 반대로 국정화는 곧, 박정희 유신 시대로의 회귀라는 야당과 일부 역사학자들의 비아냥을 ‘시대가 어느 때인데…’라며 그냥 단순한 공세로 치부할 것인가. 그것은 아닌 것 같다. 지금 중요한 것은 역사교육현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존중과 인정, 그리고 그것을 객관화 하고자 하는 노력, 균형 잡힌 기술을 위한 사회적 합의다.
그러자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가장 먼저 역사교육의 탈정치, 탈이념화라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일이라고 믿는다. 어떤 경우에라도 교육현장의 문제가 정치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여당과 야당이라는 정치 결사체는 어쩌면 정쟁을 숙명으로 떠안고 사는 집단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보수와 진보, 좌와 우라는 이념집단에 역사문제가 던져질 때 각자의 진영논리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의 문제는 교육 현장에 맡겨야 한다. 결단코 특정 정파의 이익이 개입되어선 안 되며, 특정 사관에 치우치거나 특정 이념으로의 쏠림 현상이 있어서도 안 된다.
중요한 것은 올바른 역사교육이라는 본질적인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이냐이다. 학생들에게 편협된 역사학을, 그것이 진실인 것처럼 기억되도록 해선 안 된다. 균형 잡힌 역사를 배우도록 해야 한다. 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됐든, 또 다른 무엇이 됐든 중요한 것은 바로 그것이다.
오산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오랜 기간 해온 필자의 경험에서 보면,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느끼는 위기 의식은 보다 엄중하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만연되고 있는 좌 편향 문제에 위기 의식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교실이 위험하고, 내 아이가 위험하다’라고 느끼는 현실 속에서 마냥 국정화 반대만을 외치는 것이 능사는 아닐 것 같다.
/이권재 오산지역발전포럼 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