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 6·8 공구에 내년에 착공할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한 개의 관로로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집하시설 이송관로를 하나로 사용하면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이 섞여 자원화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경제청은 송도와 청라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구분하지 않고 한꺼번에 소각하고 있고, 남동구 논현동의 한 아파트단지는 설치된 집하시설로는 음식물폐기물 자원화가 어렵다는 이유로 남동구가 음식물 폐기물 투입구를 폐쇄하기도 했다.

환경부는 지난 2012년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지침’을 통해 ‘신규 집하시설을 만들 때에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을 위한 별도의 수집·운반 관로를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2개의 관로를 설치하라는 것인데, 단일 관로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90% 이상의 음식물류 폐기물 회수율을 준수하고, 분리 배출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재활용될 수 있도록 검증된 시스템을 구축하라고 하고 있다.

감사원도 지난 6월 인천시 감사에서 ‘인천 경제청에서 만든 집하시설이 하나의 관로로 운영되고 있어 자원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새로 만들어지는 집하시설은 2개의 관로로 만들어 분리 수집이 되도록 하라’고 권고했다. 그런데도 인천경제청은 내년에 착공할 송도국제도시 6·8공구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한 개의 관로로 설치하는 방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예산이 부족해 두 개 관로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인천 경제청 관계자는 “관로를 하나 더 설치하면 150억원의 추가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한 개 관로를 유지하면서도 음식물 자원화율을 높일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송관로를 단일 관로로 하면 구조적으로 음식물과 가연성 폐기물이 혼합될 수밖에 없어 음식물 자원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인천발전연구원 윤하연 연구원은 “관로의 굴곡을 최대한 없애는 방법으로 설계를 하더라도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가 섞이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며 “현재 송도와 청라에 설치돼 작동 중인 모든 집하시설의 음식물 폐기물 자원화율이 90%를 넘기지 못하는 것을 보면 6·8공구에 한 개의 관로로 추진하는 집하시설도 사정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