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퇴출 연령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평균 보다 10년이나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이원덕)이 2001년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를 토대로 분석해 23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가 실업자가 되거나 고용주와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 등 비임금 근로자로 전환되는 연령은 평균 35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OECD 국가의 임금근로자 퇴출연령은 평균 45세였다.

장지연 연구위원은 "임금 근로자의 조기 퇴출 현상은 고령화사회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큰 문제로 비화될 수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대기업일수록 준고령자가 회사내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500명 이상 대기업에서 50세 근로자가 55세까지 계속 근무할 수 있는 확률은 29.5%에 불과했다.

예를 들어 50대 초반 근로자 100명이 있다면 이중 70.5명이 일자리를 잃는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10∼29명 소규모 사업체에서는 50세 근로자의 잔존율은 88.8%였다.

또한 기업체의 인사관리에 있어 근로자의 연령은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면서 고연령 근로자가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를 신규로 뽑을 때 연령을 제한하고 있는 업체는 전체중 50%였으며 경력직 중도채용에서도 연령을 고려하고 있는 사업체가 24.3%나 됐다.

아울러 명예퇴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사업장은 55.5%였고 정리해고시 연령을 우선 기준으로 삼는 업체도 52%에 이르렀다.

지난해 55세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평균 3.70%로 전년도의 3.03%보다 크게 증가했지만 대부분이 단순노무나 기계.조작.조립업 등 단순직종에 임시직으로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장 연구위원은 이에따라 ▲연공에 기반한 보상체계에서 성과급제로의 전환 ▲일자리에서의 연령차별 폐지 ▲고령층에게 충분한 능력개발 기회 부여 ▲유연한 퇴직 프로그램 마련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