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은 수도권 지역 내 대·중소기업의 자발적 MOU 체결을 통한 안전관리 공동체를 결성,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간 협업공동체(이하 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수도권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전국의 약 40%가 밀집돼 있으며, 한강청은 안전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이 지역적으로 인접해 있는 대기업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다양한 정보 공유를 통해 화학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117개 업체가 19개의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한강청은 공동체의 효율적인 운영 및 사고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실시하면서 공동체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해 왔다.
또한 사고 상황 등 긴급한 상황에서 공동체 및 유관기관과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 구축 및 공동체 운영에 있어서 건의사항 및 제도 개선 등에 대한 사항을 토론하는 간담회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공동체 및 업종의 특수성을 고려해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대응 매뉴얼' 구축도 지원하고 있다.
한강청 관계자는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 및 환경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각별한 주의와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안전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의 공동체 참여를 유도해 공동체를 확대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수도권에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전국의 약 40%가 밀집돼 있으며, 한강청은 안전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이 지역적으로 인접해 있는 대기업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다양한 정보 공유를 통해 화학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117개 업체가 19개의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한강청은 공동체의 효율적인 운영 및 사고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실시하면서 공동체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해 왔다.
또한 사고 상황 등 긴급한 상황에서 공동체 및 유관기관과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 구축 및 공동체 운영에 있어서 건의사항 및 제도 개선 등에 대한 사항을 토론하는 간담회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공동체 및 업종의 특수성을 고려해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사고대응 매뉴얼' 구축도 지원하고 있다.
한강청 관계자는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 및 환경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각별한 주의와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안전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의 공동체 참여를 유도해 공동체를 확대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남/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