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파주 문산지역의 항구적 홍수 예방책의 하나로 추진 중인 '임진강 준설사업'을 두고 도의회, 지역주민, 시민단체 간 찬반 갈등이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 파주시 문산읍 초평도에서 하류 14㎞ 구간에 퇴적된 흙과 모래를 파내는 '임진강 거곡·마정지구 하천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문산지역은 1996년, 1998년, 1999년 3차례에 걸친 임진강 홍수로 35명이 숨지고 재산 피해 금액만 1천778억원(복구비용 3천295억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

국토부는 이 같은 수해 방지를 위해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사업 완료에 이어 한탄강댐 설치사업(마무리 단계)과 임진강 하천정비가 이뤄져야 목표 홍수위(수위 1.04m 저감)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임진강 준설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이승규)는 "임진강은 유역 면적의 약 63%가 북한지역으로, 2008년 황강댐 담수 이후 임진강 유량이 감소해 하상퇴적이 심해지고 있다"며 "상류지역 홍수시 댐 수문 개방으로 인해 일시에 급격한 유량증가에 따른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고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강조했다.

추진위는 이에 따라 27일 지역주민 7천 명 탄원서 연명부를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 탄원서에는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가 발의한 '임진강 준설사업 중지 및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건의안'의 철회를 요구하는 의견도 담았다.

양근서 도의원(새정치민주연합·안산6) 등 경기도의원 29명은 임진강 준설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임진강 하구를 습지보호지역으로 확대 지정해달라는 내용의 건의안을 지난달 냈다.

양 의원 등은 "임진강은 상류 60% 이상이 북한땅을 흐르고, 장단반도 하류구역은 비무장지대(DMZ)여서 임진강 상류의 생태나 유량에 대한 정보도 없고 조사도 할 수 없다"면서 "홍수 대책이라며 준설을 하고, 가뭄대책으로는 물을 가두는 등의 단기 처방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임진강 하구는 환경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려던 곳"이라며 "환경부 주관으로 국토부, 문화재청, 경기도, 파주시가 합동으로 남북공유 하천인 임진강유역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북한과의 공동 관리를 위한 노력을 펼칠 것을 건의한다"고 주장했다.

임진강지키기파주시민대책위원회 등 파주지역 환경·농민단체 4곳도 도의회와 의견을 같이 하고 지난 25일 임진강 하천정비사업의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