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철_양평소방서장
신민철 양평소방서장
청렴이란 무엇일까. 우리말 사전에는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재물 따위를 탐하는 마음이 없다’라고 되어있다.

미국의 토크쇼 진행자 오프라 윈프리는 “진정한 청렴이란 아무도 알아주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옳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볼 때 청렴은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공직자 최고 덕목의 기준이 되는 것은 확실하다.

국가투명성기구의 2014년 부패인식지수(CPI) 발표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투명한 나라 1·2·3위로 덴마크, 뉴질랜드, 핀란드를 꼽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상국가 175개국 중 43위에 그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신문과 방송에 장식한 관피아, 정피아 문제만 봐도 우리나라가 진정 투명한 사회로 발전하고 있는 것인지 반문해봐야 할 것이다.

UN이 2015세계행복보고서에서 전 세계 158개국 국민의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덴마크가 2012·2013년 1위를 차지했다. 왜 덴마크는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일까? 덴마크는 소득세 60%, 자동차세 170%, 부가가치세 25%로 세금부담률이 48%나 되는 나라다. 그럼에도 덴마크 국민들은 정부를 믿고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무한 신뢰의 바탕에는 사회지도층의 특혜와 특권을 거부하고 국민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과 공동체 의식이 사회 저변을 이루기 때문이다. 얼마 전 자전거를 타던 덴마크 국회의원도 방송 인터뷰에서 “나도 똑같은 국민의 한사람이다. 특혜나 특권은 필요없다”면서 뇌물시도가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는 “그냥 웃어버린다. 어차피 농담이라고 받아들일 테니까”라고 말하는 장면에서는 부러움을 넘어 씁쓸하기까지 했다.

이처럼 특권층의 특권 내려놓기는 우리 사회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만드는 초석이 되리라 믿는다.

그러기 위해서 공직자 스스로 본인에게 주어진 특권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곳에만 쓰이고 이권 청탁이나 특혜를 바라지 않는 올바른 철학과 행동이 요구된다.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 전 부패가 극에 달한 조선 후기,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는 조선 후기의 탐관오리를 꾸짖는 책이 아닌 21세기 현재의 공직자를 꾸짖고 나아가야 할 바를 밝힌 선생의 가르침이 아닐까 생각한다. 또한 ‘안정복’의 ‘임관정요’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리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다.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善)의 원천이며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올해 을미년에는 ‘목민서’를 다시금 떠올리며 병신(丙申)년을 맞는 것이 어떨까!

/신민철 양평소방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