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반월공단내 섬유가공업체인 S섬유는 불법체류 외국인 강제추방이 시작되는 17일부터는 아예 공장문을 닫아야 할 위기에 처했다.
11명의 외국인 근로자 중 필리핀 산업연수생 2명을 제외하고 9명이 모두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강제출국 대상자이기 때문이다.
사무직 직원들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기계를 다루거나 고된 일을 하는 근로자는 20명도 채 되지 않아 이들 9명이 모두 귀국하거나 단속을 피해 잠적할 경우 엄청난 손실이 불을 보듯 뻔한 상태다.
회사 총무팀이 전국의 외국인 인력관리 업체를 찾아다니며 빈 자리를 메울 대체인력을 구하고 있지만 합법화된 외국인근로자들의 경우 임금이 최고 3배 이상 올라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다.
사장 김모(46)씨는 “국내에 체류한지 4년정도 되면 국내 적응력도 커지고 작업도 숙련공 수준의 인력”이라면서 “중소기업체에 대한 대책도 없이 숙련된 외국인근로자들을 방출해 버리면 기계는 누가 돌리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15명의 근로자중 4명의 외국인근로자를 둔 광주시 D금속도 사정은 마찬가지.
2명의 숙련공들이 회사를 떠나 고향 파키스탄으로 돌아갔고, 1명은 이달치 월급을 받자마자 단속을 피해 잠적했다.
이 업체 역시 대체 인력을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지만, 외국인 근로자들이 맡았던 작업이 워낙 힘들고 고된 일이라 지원하는 사람이 없어 인력 확보가 쉽지 않은 상태다.
사태가 이쯤 되자 일부 업체들은 아예 정부의 처벌(3년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을 감수하더라도 강제출국 대상자인 외국인들을 붙잡아두겠다며 정면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광주의 한 피혁업체 사장 서모(45)씨는 “어차피 기계를 못돌리면 공장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라며 “적발돼 벌금을 물더라도 폐업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안산외국인노동자센터 박천응 목사는 “정부의 강제출국조치는 중소기업들의 숨통을 틀어쥐는 실행 불가능한 계획이었다”며 “지금이라도 이들을 고용허가제의 틀 안으로 끌어들여 양성화하지 않는다면 중소업체들의 반발이 사회문제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