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선별장 직접 운영
최근 폐지·고철 값 하락세
매달 1천만원씩 적자 구조
혼합수거방식 문제 지적도


재활용자원인 이른바 ‘고물 값’이 바닥을 치면서 광주시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9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안정적 자원회수를 통한 자원재활용 생활화를 위해 지난 2008년부터 자원재활용 선별장을 운영해 오고 있다.

하루 24t 가량을 처리하는 자원재활용 선별장은 올해 초까지 민간이 운영을 맡는 독립채산제 방식으로 가동됐으나 지난 8월부터 시가 운영을 맡고 업무만 민간이 담당하는 위탁방식으로 바뀌었다. 자원재활용 대금을 시 수입으로 편성,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는 경기도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8월부터 매달 7천300만원의 운영비를 지출하며 선별장을 운영해 오고 있다. 운영비는 재활용자원 판매를 통한 대금을 시 수입으로 잡아 충당하고 있다. 운영업체가 본인 비용으로 일괄 수거하고 재활용자원 값을 가져가는, 운영비 부담이 없던 기존 방식과 차이가 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불황으로 고철과 폐지·플라스틱 등 재활용자원의 가격이 크게 하락세를 보이면서 선별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달 1천여 만원씩 적자를 보는 구조가 된 것이다.

폐지나 재생플라스틱 등은 2~3년전 대비 60%가량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철 값의 하락세는 더욱 가파르다. 선별재활용품의 40%를 차지하는 비닐을 활용한 압축재활용품인 EPR은 발전소 가동 연료로 쓰였으나 최근 유가하락세 영향으로 거의 팔지 못해 선별장 한 곳에 쌓여만 가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일부 시민들은 “재활용품 수거 시 잘 정리된 재활용 자원을 혼합해 수거하는 방식때문에 운영비가 많이 드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까지 보내고 있다. 혼입 수거는 선별장에서 재차 선별해 비용이 많이 든다는 판단에서다.

시 관계자는 “전례없는 고물가격 하락의 영향도 크지만 일단 인구증가에 따른 재활용품 반입이 늘어난 것이 운영비 증가의 이유고, 시민들이 재활용 분리를 잘 해주고 고물가격이 오르면 유지비용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