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세’ 가구당 순자산 규모, 한 단계 또 밀려
부채규모 큰데 반해 마땅한 대책없어 미래 더 걱정

문제는 우선, 좀체 성적이 오르지 못하는 점이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2년만 해도 인천의 가구당 총자산 순위는 전국 7위였다. 실물자산이 6위, 금융자산이 8위를 기록했었다. 그러던 것이 2013년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이 모두 11위권으로 밀려나더니 금년에도 각각 11위, 10위로 나타났다. 그나마 금융자산의 순위가 올랐지만 한 단계에 그치고 있다. 가구당 순자산규모도 2012년 8위에서 2013년, 2014년 연속 13위를 기록하고도 올해는 한 단계 더 떨어졌다. 최근 개선되고 있는 가구당 소득에 기대를 걸자 해도 녹록지 않다. 2011년 16개 시도중 7위를 차지하였던 인천의 가구소득이 2012년 9위, 2013년 11위로 떨어지다 2014년에 들어서는 8위로 올랐다. 중간수준으로 보이지만 가구당 평균 4천389만원은 전국 4천767만원의 92.1%, 서울 5천234만원의 83.9%수준에 불과하다.
또 다른 문제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점이다. 근본적으로 자산이 실물에 치중되어 있는 데 반해 부채규모가 너무 크다.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비율(=금융부채/금융자산)이 72.7%로 전국 47.6%, 서울 39.2%, 경기 53.2%에 비해 높아도 너무 높다. 인구구조를 생각하면 향후 부동산 가격 지지가 어려워진다. 국제금융시장 여파로 대출금리는 상승할 전망이다. 자산의 감소에 더하여 부채의 증가가 겹치니 소비 여력이 줄고 상환부담이 커지는 리스크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평균이상의 소득증가가 어려우니 가계재무의 건전성도 걱정이다. 판단 기준의 하나인 가구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012년 103.6%에서 2015년에는 112.2%로, 지속해서 그것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인천 가구의 건전성이, 질적 수준이 나빠지고 있다는 말이다.
마지막 문제는 마땅한 대책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인천시는 채무 감축에 모든 힘과 정성을 쏟아 넣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중앙정부가 도와주어야 한다. 중앙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성과를 구체화하기 위한 ‘2016년 경제정책 방향’ 중 ‘지역경제 발전방안’은 ‘규제프리존 도입’이다. 풀어주는 것이 답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 수도권은 제외됐다. 서울은 잘사니까 그렇다고 치자. 경기도는 동부권을 수도권 규제대상에서 제외할 계획이란다. 수도권에서 가장 못사는, 전국에서도 못사는 편인 인천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도권의 규제대상일 뿐 아무런 말이 없다. 잘사는 동네 옆에 산다는 이유로 손발이 묶인 채 홀로 서야 하는 인천이 힘에 겹다.
/김하운 인천사회적은행·(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