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체감지수.'

2016011201000769600038251
목동훈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연말부터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유 시장은 언론사 신년 인터뷰, 신년사, 시무식, 시의회 신년 인사회에서 인천시민들의 '행복 체감지수'를 강조했다.

"현안사업에 대해 더욱 박차를 가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신년 인터뷰) "올해에는 인천의 변화·발전이 시민 여러분의 행복 체감지수를 높이도록 하겠습니다."(신년사) 유 시장은 시무식에서 "시민들의 체감지수를 높이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고 했고, 시의회 신년 인사회 자리에선 "시민들의 행복 체감지수가 높아지는 한해가 되기를 간절하게 희망한다"고 했다.

유정복 시장이 새해 들어 '행복 체감지수'라는 말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정 성과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과 그동안 시민 생활의 세세한 부분까지 챙기지 못한 '반성'의 메시지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인천시는 재정 건전화를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재정 정책을 폈다. 또 루원시티와 검단새빛도시(옛 검단신도시) 개발 정상화, 제3연륙교 건설 등 현안을 해결하는 데 몰두했다. 시는 섬 등 그간 저평가 받았던 인천의 가치를 높이고, 지역 정체성과 시민들의 주인 의식을 확립하겠다며 인천 가치 재창조 정책도 추진했다.

재정 건전화, 현안 해결, 가치 재창조 등 굵직한 사안에 매달리다 보니 복지·문화·환경 등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일에는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인천시의 재정운용 상태가 과거보다 나아졌다고 하지만 '긴축재정' 탓인지 시정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시민들이 적지 않다. 인천 가치 재창조 정책도 시민들의 실생활에는 크게 와 닿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 경인일보가 지난달 28~30일 인천시민 302명에게 '가치 재창조 정책'에 관해 물었는데, 응답자의 25.9%가 '불필요하다', 37.9%는 '모른다'고 응답했다. 시민 10명 중 6명 정도는 가치 재창조 정책을 체감하지 못하거나 모르고 있는 셈이다. 최초·최고·최대·유일의 가치를 극대화해 도시의 위상을 높이고 관광을 활성화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에서 자긍심·애향심·주인의식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시민들이 공감하고 원하는 가치 재창조 사업이 필요하다.

/목동훈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