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총선부터 사상 처음으로 도입되는 '안심번호제도'를 놓고 출마자들이 유불리를 따지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안심번호'는 이용자의 이동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생성한 임의의 번호. 각 정당은 지난해 말 관련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당내경선 선거인단 모집' 또는 '여론수렴(여론조사)'을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9월 안심번호제도가 도입되면 이를 100% 적용하기로 결정했고, 새누리당도 경선의 신뢰도·정확도 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4일 논란 끝에 도입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과는 달리 집 전화가 없거나 주간에 집을 비우는 젊은 층까지 참여가 가능해 졌고, 후보들은 당원 등 조직력을 앞세운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선거운동이 불가피한 상태다. 후보들은 일단 출·퇴근길 홍보강화에 나서는 등 젊은 층과의 접촉면을 넓히는 모양새다.

특히 젊은 층 참여가 높은 SNS·웹툰·웹진 등 온라인 선거운동(경인일보 1월 20일자 1면보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신진들의 도전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전하진(분당을) 의원의 경우 당원보다는 지역 내 전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홍보물을 강화하고 나섰다. 5선의 더민주 이석현(안양동안갑) 의원에게 도전장을 던진 민병덕 예비후보는 ""온라인, SNS 등에 특히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와중에 안심번호제도가 처음 도입되는 제도이다 보니 유불리를 따지기가 쉽지 않아 후보자들의 고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한 사람이 수십 대의 휴대전화를 개통하는 편법이 벌써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론조사 기관인 리서치뷰 측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조직력과 현역 프리미엄이 현저히 약화되면서 이변이 속출할 것"이라며 "특히 수도권 등 도심지역의 경우 그 파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에 비해 신인보다는 인지도가 높은 현역 의원이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KT 등 통신사들은 최근 일제히 이동전화 이용자들에게 이메일 등을 통해 안심번호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을 공지한 뒤 참여 여부에 대한 확인에 들어갔다.

/김순기·송수은기자 island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