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위원회2
지난 25일 수원 경인일보 소회의실에서 12월 신문 독자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道, 공공산후조리원' 심층적 분석 아쉬움
'선거문자, 피곤한 유권자 휴대폰' 눈길
'화성화장장 갈등해결 접근도 필요' 지적


12월 경인일보 독자위원회의가 지난 25일 경인일보 소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이민우(경기신용보증재단 영업부문 상근이사) 위원장, 박승득(전성철·박승득 법률사무소 변호사) 위원, 박종강(경기도문화재단 경영전략실장) 위원, 장동빈(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위원이 참석했다. 이날 경인일보에서는 김성규 사회부장이 자리를 함께했다. 권혁성(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위원, 이귀선(수원YWCA 사무총장) 위원은 서면으로 의견을 제출했다.

12월 독자위원회의는 한해를 마무리하는 달인 만큼 위원들도 애정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박승득 위원은 "12월은 훈훈한 미담 기사도 넘쳤던 것 같다"며 "한중 FTA 발효를 즈음해 '문 열린 대륙시장'이라는 제목의 시리즈 기사는 FTA로 인한 기대 효과와 문제점 등을 잘 다뤄주고 이에 대한 대비책까지 보도해 준 유익한 기사"라고 말했다.

24일자 3면에 보도된 '광교 앞에 펼쳐진 VR AR 메카' 기사와 관련해 권혁성 위원은 "현재 경제 활성화라는 시대적 과제가 있는 상태에서 사회적 관심도 높은 가운데, 주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메시지였다"며 "앞으로 관심을 부각시킬 수 있는 차원에서 기획 취재나 심층 취재를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됐으면 하는 기대를 불러일으켰다"고 평가했다.

이민우 위원장도 "광교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산업의 메카로 발돋움할 전망이라는 기사가 보도됐는데, 이를 위해 경기도가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야심찬 계획은 관련 분야의 예비 창업자들에게 정말 반가운 소식"이라며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세부 실행을 할 때 기업 자금지원이라든지 세제혜택 등의 내용이 함께 담겨 있었다면 더욱 관련분야 기업인들의 관심을 끌고 이들에게 더 좋은 기회와 혜택을 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또 15일자 3면의 '경기도 공공산후조리원' 기사와 관련해서도 의견을 냈다.

그는 "최근 예비 산모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산후조리원을 갈 것인지를 선택하는 문제라는 말을 들은 적 있다"며 "유명한 산후조리원은 2주당 200만~400만원, 심지어 500만원이 넘는 곳도 많다고 한다. 산후조리원은 산모들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비용 때문에 한편으로는 산모들에게 걱정거리 중 하나인 셈이다. 이 상황에서 경기도가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해 시중 민간조리원보다 절반 이상 저렴하게 제공하고, 우선적으로 경제적 취약층인 차상위계층, 장애인, 세자녀 이상 산모 등이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참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보도가 예비 산모 또는 가족들에게 아주 좋은 선물이 됐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산후조리원 비용과 시설, 이용후기 등과 함께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면밀한 분석 등이 심층적으로 다뤄졌다면 독자들이 더욱 이해하기 쉽고 공감도 얻었을 것인데 그 부분이 조금 아쉽다"고 덧붙였다.

박종강 위원은 23일자 22면에 보도된 '또 선거문자, 피곤한 유권자 휴대폰' 기사에 대해 "본격적인 선거철을 앞두고 재미있는 기사였다"며 "이 피곤한 전화를 피할 수 있는 방법도 안내해줬으면 좋았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장동빈 위원은 지난 11월 16일부터 시작된 해외 기획취재 '화장, 일본에서 답을 찾다' 시리즈가 12월 8일 8편을 마지막으로 마무리된 것에 대해 의견을 냈다.

장 위원은 "소위 혐오시설 또는 기피시설로 불리는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문제해결 방법과 대안을 일본의 사례를 통해 소개했는데, 우리 사회에서 환경기초시설의 갈등은 주로 행정의 일방통행과 비공개, 밀어붙이기식 사업방식에서 현저하게 발생하며 시설설치 과정과 설치 후 운영과정에서 시민참여와 결과공유의 부재 등으로 확대재생산된다"며 "현재, 화성시 숙곡리 광역화장장 시설설치로 인해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의미있는 기사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갈등을 야기한 당사자와 갈등해결 주체의 해결의지와 해결방식 등에 대한 언론의 비판적 접근도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위원들의 지적도 잇따랐다.

일본군 위안부 협상과 관련한 기사에 대해 장동빈 위원은 "전혀 의미있는 진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 자료를 그대로 기사화 한 것 같아 지적하고 싶다"며 "피해 당사자에게 사과도 없고, 일본과 일본군의 전쟁범죄라고 인정도 않고, 전쟁범죄에 대한 진상조사도 없는 협상은 국가간의 협상이라기보다는 종속관계에 있는 국가간의 굴욕이라고 볼 수 밖에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뜨뜻미지근한 마침표'라는 제목과 내용으로 정부의 의견을 대변한 것 같아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이귀선 위원도 "28일 이후 정부의 위안부협상과 관련된 기사를 계속 보도했는데, 피해 할머니들의 입장도 함께 다뤄 독자들로 하여금 판단에 도움을 줬지만, 이후 쟁점이 되는 문제들과 전문가의 해결방안 등이 추가로 실리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