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지역에서 이름을 내건 대형 개발사업들이 이런 모양새다. 선거 때마다 나왔던 휘황찬란한 계획들이 차질을 빚은 이후, 그 어떤 사업도 정상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 괜한 땅값 보상의 기대심리만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교신도시 조성 원가가 판교와 동탄보다 높아, 사업 추진에 애를 먹는 것처럼 말이다.
최근의 '운암뜰'도 그렇다. 오산시가 복합개발사업 부지로 보고 있는 운암뜰은 경부고속도로 오산IC 및 오산 신시가지인 오산시청 등과 인접한 57만㎡ 규모로, 대부분 전·답으로 구성돼 있다. 접근성 등이 워낙 우수해 일찍이 개발이 점쳐져 왔으나, 이 같은 부분이 오히려 독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상업과 주거·교육·문화와 함께한다는 '랜드마크 개발' 등의 이야기가 흘러나왔지만, 아직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지기도 전이다. 먼저 약속을 한 후 개발 사업자를 찾는 탓에, 그 누구도 기대감을 충족시킬 사업 아이템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 안은 없는 데 거시적 계획만 난무하다 보니, 불만만 가득해지고 있다. 일부 도시계획전문가들이 "토지보상 비용이 높아, 민간업체들이 개발에 손을 대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이런 점에 기인한다. 대학병원 유치가 무산된 내삼미동 서울대병원부지 활용문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전통문화단지 조성 추진 등이 계획되자, 이에 대한 반대 움직임도 언론을 통해 흐른다. 해당 부지 활용에 대한 눈높이가 '대학 병원'에 맞춰진 탓이다.
모든 대형사업이 완벽할 수는 없다. 노력의 여부와 결부되는 것도 아니다. 시대의 상황과 시장의 변화에 따라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이제는 오산시와 시민들이 현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거창한 비전보다는 이행이 가능한 계획이 필요하다. 오산(烏山)의 오산(誤算)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개발 계산기를 다시 두드려야 한다.
/김태성 지역사회부(오산)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