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대중화 연령층 넓어져
바른 자세·전신운동, 예방 도움


재전송
김 찬 김찬병원 대표원장
병원을 찾는 환자 중에는 "이상하게 몇 년 전부터 날개뼈 쪽이 아프다", "혈압은 높지 않은데 뒷목이 뻣뻣하다", "양쪽 어깨가 번갈아 가며 아프다", "손이 자주 저리다"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피곤하면 흔히 있을 수 있는 증상이지만 몇 년간 반복될 경우 목 디스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게 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서류·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는 직장인이나 무거운 것을 많이 지고 나르는 직업을 가진 사람 중에는 어깨가 무겁고 목이 당긴다거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는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직업, 연령층이 매우 다양해지고 환자 수도 늘어난 추세다.

목 디스크란 간단히 말해 목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이 신경 쪽으로 튀어나와 목에서 나오는 신경을 누르는 것을 말한다.

흔히 목 신경은 목 부위에 국한된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목에서 나오는 신경은 뒷머리, 목 뒤, 양쪽 어깨에서부터 팔, 손가락, 앞가슴까지 분포하므로 목 디스크 증상도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몇 년 동안 뒷머리가 아파 고생한 사람이 자신의 증상을 두통으로 생각하고 두통약을 복용하다가 통증이 계속돼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목에서 시작된 통증이 편두통으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목 디스크 치료를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목 디스크의 원인은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퇴행성 변화이며 좋지 않은 자세와 잦은 스트레스, 불량한 자세를 장시간 취할 경우 생길 수 있다. 일단 디스크가 생기면 주위 신경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붓고 염증이 생기며, 근육이 수축하고 조직의 혈액순환도 지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통증은 더욱 심해진다. 시일이 지나면 만성 통증이 돼 간단한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는 회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기에 신경 및 주위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디스크 악화를 막는 길이라 할 수 있다.

통증 의학과에서는 문제가 생긴 신경에 신경치료제를 투여해 신경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고, 과도하게 수축한 주위 근육들을 이완시키는 치료를 하고 있다. 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질환의 악화를 막아준다. 그러나 치료와 별개로 환자들은 항상 자신의 증상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할 수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특히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노력하고 전신운동과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온탕을 1시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또 체중조절에 유의해 병이 악화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김 찬 김찬병원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