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을 앞두고 여러 시민사회 단체가 연대를 결성하고 각 분야의 목소리를 정치권에 전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교육희망네트워크 등 교육 시민사회단체 6곳은 24일 오전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6 총선 대응 교육정책연석회의' 출범을 선언했다.

진보성향 교육운동가와 학부모 등으로 이뤄진 이들 단체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등 현 정부의 교육 정책은 현장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면서 "현장의 요구가 총선에 반영되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재정 확보를 통한 보육·유치원 및 초·중등 전면 무상교육, 학생인권법 제정 등 교육기본권 보장, 대학공공성 강화 및 입시경쟁 철폐 등 3대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각 당 정책위원회 및 선거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총선 출마 후보자에게 주요·핵심과제 공약을 전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앞서 전날 청년유니온 등 16개 청년단체는 '2016 총선청년네트워크'를 발족하고 '청년정책 공동요구안'을 발표했다.

요구안에는 최저임금 1만원 인상, 청년 구직지원수당 도입, 공정임대료 제도를 통한 월세 인하, 반값등록금 등 10개 분야 청년 정책이 담겼다.

같은 날 153개 장애인단체로 이뤄진 '2016 총선장애인차별철폐연대'도 장애인 권리보장법 제정·복지 예산 확대 등 2대 핵심과제와 장애등급제 폐지 등 21대 공약을 정치권에 전달했다.

이들 단체는 선거 당일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참정권이 제대로 보장되는지 모니터링을 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17일에는 참여연대·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한국진보연대 등 대표적인 시민사회단체 1천여곳이 '2016 총선 시민네트워크' 발족을 선언하기도 했다.

이들은 "환경파괴에 앞장섰거나 경제민주화를 외면한 정치인,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주장하거나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방해한 정치인에 책임을 묻겠다"면서 낙천·낙선운동을 예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