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독자위원회
지난 17일 오전 경인일보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1월 독자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쉼터·보육교사 문제 시의적절 다뤄 '신선'
위안부 협상관련 전문가 의견 적어 아쉬움
'제3연륙교 무료도로' 기획물 필요성 제기


경인일보 1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가 지난 17일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독자위원회 회의에는 김하운 독자위원장(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과 조경숙(공익활동가·사회적 협동조합 동행 사무처장) 위원이 참석했다. 경인일보에서는 임성훈 문화체육부장이 나와 의견을 들었다.

이달 독자위원들은 독자의 입장을 고려한 세심한 배려가 눈에 띄는 '친절한' 기사가 많았다고 입을 모았다.

김하운 독자위원장은 누리과정 예산을 두고 교육청, 지자체, 교육부가 갈등을 빚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해 자세히 분석한 <이슈추적/배다른 형제 유치원·어린이집 '한집 살림' 막장드라마>(8일 3면) 기사를 좋게 평가했다.

그는 "누리과정 예산 문제로 빚어진 논란과 그 배경과 진행 상황 등을 자세하게 정리해 소개한 점이 독자들의 눈길을 끌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제대로 된 소개로 경인일보 독자들이 이번 사안을 이해하고 판단하는데, 크게 도움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인천시가 가치 재창조 일환으로 추진 중인 섬 프로젝트가 기존 사업의 재탕이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보도한 <섬 프로젝트 기존 사업 재탕되나>(29일 1면)도 호평을 받았다.

조경숙 독자위원은 "문제가 되는 사업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담당 공무원의 인터뷰까지 소개해 누가 봐도 이해할 수 있게 잘 정리했다"며 "경인일보가 이 사업을 지속해서 모니터링 하고 점검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신선한 시각이 돋보이는 기사가 많아 눈길을 끌었다는 평가도 나왔다.

주요 정책이 정부와 지자체 예산을 받지 못해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들여다 본 기사<'낮에만 있는' 노약자 혹한기 쉼터(관내 주민센터·경로당 등)>, <'법에만 있는' 보육교사 고충상담(지자체 산하 육아종합지원센터)>(26일 23면)가 그랬다. 김 위원장은 "보육교사와 노약자 쉼터 등 법규와 사회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있는 문제를 시의 적절하게 기사화 했다"며 "독자로서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인천 중구 신포동 주변에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우려된다는 문제점을 2차례에 걸쳐 지적한 <인천의 홍대 신포동 '젠트리피케이션 주의보'>(28·29일 1·3면) 기사 역시 눈길을 끌었다.

김 위원장은 "신포동으로 대표되는 개항장 일대에서 우려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해 잘 분석한 점이 신선했다"며 "인천의 대표적 관광지인 월미도와 연안부두에도 과거에 비슷한 현상이 빚어졌는데 이런 부분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그는 "하지만 공공기관이 건물을 매입해 자산화해야 한다는 해결책은 시장원리에 맞지 않을 뿐 더러, 성공 가능성도 희박해 보인다"며 "더 신중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위원은 경인일보가 새해를 맞아 국정, 시정에 대한 시민 여론을 들어보는 4일 5면의 여론조사 결과보도를 눈여겨 봤다며 "색깔과 도표를 사용해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편집해 보기 좋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천의 한 지자체가 일하는 여성을 위한 보육정책 확대·개선에 나선다는 <보육 안심도시로, 워킹맘 걱정마>(8일 19면) 기사에 대해 "구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단체의 노력을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보여줘 다른 지자체가 이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하는 좋은 기사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인천의 한 지자체의 전직 비서실장이 동 주민센터에 재활용쓰레기차 구입을 지시한 사회면(23면) 보도에 대해서는 "지역 언론이 구정을 지켜보고 있다는 경각심을 줄 수 있는 기사였다"고 평가했다.

아쉽다는 지적도 많았다.

김 위원장은 "경인일보가 신년을 맞아 시와 군·구 단체장의 신년 인터뷰와 새해 계획을 소개했는데, 일방적인 느낌을 받았다"며 "독자들의 시각에서 지난해 실적에 대한 평가가 함께 이뤄지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역언론이 단체장·주요 기관장에 대해 시민들이 바라는 의견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더 활성화 됐으면 한다"고 했다.

조 위원은 위안부 문제 한·일 협상 결과와 관련한 보도가 아쉬웠다고 꼬집었다. 그는 "협상 결과와 관련해서 정부와 야당, 위안부 할머니들의 입장을 나열하는 데 그쳤다"며 "이 문제와 관련된 이슈를 더 깊이있게 분석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더 많이 소개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고 했다.

그는 8일 2면에 보도된 <제3연륙교(인천 영종도~청라국제도시) 무료도로 착공 촉구> 기사에 대해서는 "보도자료 중심의 기사가 아니라 배경과 논란, 앞으로의 전망 등을 알 수 있는 자세한 기획 기사를 보고 싶다"는 의견도 냈다.

또, 조 위원은 "새해 인천 답동성당 앞에 설치된 한 병원 노조의 농성장이 강제철거 됐는데, 이런 소식을 지면에서 찾아볼 수 없어 아쉽다"고 했다.

김하운 위원장은 또 지역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해서 중앙 정부부처 관계자들의 인천에 대한 시각과 의견을 듣는 고정 칼럼 등을 신설하자는 제안도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